earticle

논문검색

어망추로 본 청동기시대 어로 양상 -포항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Bronze Age Fishing Practices as Observed from Fishing Net Weights -Focusing on Material from the Pohang Area -

이동주, 장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t much in known about Bronze Age fishing practic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construct the subsistence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fishing activities. Fishing net weights comprise one category of archaeological material through which past fishing practices can be approached. Unlike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Bronze Age fishing net weights were made of fired clay, and these ceramic fishing net weights are indicative of mass production and standardization in form. This, in turn, may be taken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well organized and specialized fishing activities. Taking the above issues into consideration, the fishing net weights of the eastern coastal region (the Pohang area in particular) were considered. The major residential areas of this regio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Group A (the sites of Chogokri, Namsongri, Iinri, Daeryunri) located next to the Chogokcheon River, Group B (the sites of Hodong, Wondong remains) located next to Nangchon River, and Group C (the sites of Gumanri, Daebori, Gangsari, Samjungri) located close to the coastline. A total of 672 fishing net weights have been excavated thus far from the Pohang area;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are 637 fishing net weights, 27 having been excluded due to uncertain chronology and 8 as their original forms could not be reconstructed due to poor preservation. The fishing net weigh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rm, into the button type (Type I), bead type (Type II), and cylinder type (Type III).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ype IIIB fishing net weights were excavated in great quantities from all three residential area groups. However, the percentage of Type IIA (bead type) fishing net weights was much higher in the Group C than in Groups A and B. Previous studies have assumed that the importance of fishing deceased as that of farming increased. However, this model cannot be applied universally for the Bronze Age. Given the fact that residential areas were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coast or rivers, water resources would have continued to be greatly important. The continued importance of fishing is evidenced by the presence of fishing net weights of various forms. Fishing net weaving technique may also be considered as a means of approaching the issue of specialization and organization. Neolithic net design pottery excavated from the Dongsamdong shell midden contains on its surface the imprint of braided nets. When nets were made with braided rope, the tensile force increased, which allowed it to withstand water pressure and the gravity of fish. In order to make braided rope, a tool called the ‘bitot’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in the case of items that have been vaguely reported as ‘spindle whorls’ those in which the thickness measurement is similar to the surface measurement may be regarded as bitots. In addition, given that the longevity of organic fishing nets depends on how well they were dried, and as drying enabled the long-term storage of fish, pits such as those located behind Bronze Age dwellings at the site of Iinri in Pohang may be interpreted as drying facilities called ‘dukjang’

한국어

청동기시대 어로에 관해서는 베일에 가려진 면이 적지 않다. 따라서 어로를 통해 생업 의 이면을 추적하기란 쉽지 않다. 그 와중에 당시 어로의 양상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자료로 어망추를 들 수 있다. 어망추는 그물에 하중을 주어 물속으로 가라앉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 로구이다. 청동기시대는 전대와는 달리 흙으로 소성된 어망추가 등장한다. 소성작업은 그 이 면에 대량 생산과 형태의 균일화를 함의하고 있다. 그 선상에서 청동기시대 어로는 전문화, 조직화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는 이러한 제반사항을 염두에 두고, 동해안, 특히 포항지역에서 출토된 어망추를 유 형별로 정리해 보았다. 지금까지 포항 지역에서 보고된 어망추는 모두 672점인데, 그 가운데 시대가 불명확한 유구에서 출토된 27점과 결실이 심하여 그 형태를 알 수 없는 8점을 제외한 637점을 분석해 보았다. 형태분류는 크게 단추형(ⅠAㆍB식), 구슬형(ⅡAㆍB식), 원통형(ⅢA ㆍBㆍCㆍD식)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한편 포항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권역별로 초곡 천과 인접한 A군(초곡리ㆍ남송리ㆍ이인리ㆍ대련리 유적), 냉천에 인접한 B군(호동ㆍ원동 유 적), 해안과 인접하여 형성된 C군(구만리ㆍ대보리ㆍ강사리ㆍ삼정리 유적)으로 대별할 수 있 다. 어망추의 출토 양상은 A, B, C군 공히 ⅢB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하천과 연접된 A, B 군의 경우 C군에 비해 ⅡA(구슬형)의 비율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어로와 관 련된 연구성과에 의하면 농경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어로에 대한 의존이 낮아졌다 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식은 청동기시대 전체를 관통하기 어려운 측면이 없지 않다. 즉 주 거지의 입지가 강이나 해안을 끼고 있을 경우 수자원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았을 것이기 때 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여러 유형으로 제작된 어망추의 존재는 어로의 비중이 결코 낮지 않 았음을 웅변해 준다. 아울러 전문화, 조직화의 증거로 어망을 짜는 직조기술에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신 석기시대 동삼동 패총에서 출토된 그물문 토기는 끈목으로 짠 그물을 토기의 외면에 직접 찍 어 문양을 낸 경우이다. 끈목은 여러 가닥의 실을 합사한 것이다. 때문에 끈목으로 그물을 짜 면 물을 거스르는 압력, 물고기의 하중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이 늘어난다. 섬유질의 실을 끈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비톳이라는 도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그간 막연히 방추차로 보고되어 온 것들에 대한 관심의 환기 차원에서 표면적 대비 두께가 비슷할 경우 비톳일 가 능성이 높음을 지적하였다. 덧붙여 건조시설을 추론해 보았다. 사실 물고기와 섬유질로 된 그 물은 건조가 중요하다. 다시 말해 그물과 물고기의 장기간 저장은 얼마나 잘 건조되었는가를 통해 판가름 난다. 때문에 여기서는 포항 이인리 청동기시대 생활유적의 주거지 뒤편에서 확 인된 무수한 주혈군들을 건조시설, 이른바 덕장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문제제기
 Ⅲ. 포항지역 출토 어망추의 유형 및 특성
 Ⅳ. 그물 제작 및 물고기의 건조 방법에 대한 추론
  1. 그물의 제작 방법
  2. 물고기의 건조에 대한 가설 제기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주 Dong-joo Lee. (재)성림문화재연구원 연구원
  • 장호진 Ho-jin Jang. (재)성림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