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의 관련성 분석

원문정보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s and Brand Image Improvement

김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sider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s such as formativeness, fitness, usability, satisfaction, sociality, eco-friendliness and economics to analyze any relation of such with brand image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contents of brand image improvement into design preference and brand preference.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set a hypothes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with statistical analysis by stages. 114 adults living i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a market survey was used as a questioner method. The period of collection of data was one month from May 12th2012 to June 11th 2012.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in the step-by-step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 and design preference, formativeness, fitness, usability, satisfaction, sociality and economics had an influence on design preference, but eco-friendliness did not influence on design preference.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n design preference was formativeness, usability and fitness from the highest order, which demonstrates that formativeness and usability had a great effect on design preference compared with other factors. Secondly, in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 and brand preference, formativeness, fitness, usability, satisfaction, and economics had an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but sociality and eco-friendliness did not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was usability, fitness and formativeness from the highest order, which demonstrates that usability and fitness had a great effect on design preference compared with other factors. Thirdly, design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which indicates higher design preference may generate higher brand preference. Thus, it can be said that factors affecting design preference may improve brand imag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인의 평가요소가 되는 다양한 특성, 즉 조형성, 합목적성, 사용성, 만족성, 사회성, 친환경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이들 요소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내용을 디자인 애호와 브랜드 애호로 나누어 이들 요소와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조사설계에 따라 단계적인 통계처리로 진행하였다. 표본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로 114명으로 정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기간은 2012년 4월 12일부터 동년 5월 11일까지 1개월간이었으며, 통계적 분석방법은 실증적 분석에서 단계적으로 이용되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디자인 애호와의 관련성 분석에서 조형성, 합목적성, 사용성, 만족성, 사회성, 경제성 요소는 디자인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환경성 요소는 디자인 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디자인 애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조형성, 사용성, 합목적성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어 조형성과 사용성 요소가 타 요소에 비해 디자인 애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브랜드 애호와의 관련성 분석에서 조형성, 합목적성, 사용성, 만족성, 경제성 요소는 브랜드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성과 친환경성 요소는 브랜드 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소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애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용성, 합목적성, 조형성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어 사용성과 합목적성이 타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브랜드 애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디자인 애호는 브랜드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디자인 애호가 높을수록 브랜드 애호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에 디자인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2.2. 디자인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
 3. 연구모형 및 가설
  3.1. 연구모형의 구축
  3.2. 연구가설의 설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실증분석
  4.1. 자료수집과 표본설정
  4.2. 표본의 특성
  4.3.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4.4. 가설검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석 Kim, Young Seok. 안산대학교 멀티미디어디자인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