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뉴욕 소규모 패션브랜드 리테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VMD of Small-Scale Fashion Brand Retail Shops in New York

김유경, 홍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necessity of new method of showing products by understanding the change of consumption motive is increasing because of new realization of life style, visual merchandising has been noticed, which is a major means in visualization of products through differentiating shops , in the retail market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strategy of VMD in domestic corporation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VMD cases in New York, USA. of the center of VMD. The method and range of this study is to rearrange factors of VMD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nd relevant documents in the aspect of theory and classify factors of space, display and direction. The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 group of professionals, aiming at the final analysis materials which are easy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s by extracting 49 shops in the small-scale Fashion Retail Brand shops among 150 shops collected around fashion brands in New York from July, 4th, 2011 to July, 15t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fact of space, floors and walls have unity in the colors and the quality of materials. first of all, as the floors are mostly made of wood material in the tone of brown the ancient image is kept, compared with department stores and multiple chains without rebuilding or repairing buildings. Second, as the factor of display, a number of characterful products are expressed as free concepts or images without limited images by using various furnishings, visual images, POP, props and lightings. Third, as the factor of direction, VP is focused on the compositions of a variety of products centering interior display rather than the image formation of window array and in the case of PP, the efficiency to secure new consumers has increased with a lot of furnitures, lightnings and POP. In case of IP, trendy styles are displayed on the top easy to secure sight and the rest products are consistently displayed according to color and products, so a lot of products are to be held and expressed as characterful shops. Fourth, the feature of showing vintage image intensively around SoHo is suggested and this result corresponds to the space composition with the ancient sense as the factor of composition. Through this study, the conclusion is drawn that the factors of VMD is composed for the concentration of products in the small-scale shops in New York, so the shops have unity mostly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concepts in each different shop, above all, VP is centered on interior rather than window arra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uying rate will rise with exterior effects in VP through the composition of window array to sublimate products in image. The follow-up study is to conduct comparative study by analyzing VMD cases in multiple chains in New York.

한국어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소비동기의 변화를 이해하여 상품을 보여주는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매장 차별화에 의한 상품의 시각화에 중요한 수단으로서 소매업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VMD의 중심지 미국 뉴욕의 VMD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기업의 VMD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범위는 이론적 측면의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토대로 VMD 요소를 재정리하여 공간적 요소, 진열적 요소, 연출적 요소로 분류하였고 2011년 7월 4일부터 7월 15일 까지 뉴욕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수집한 총 150점 중 소규모 패션브랜드 리테일 샵에 해당하는 48점을 추출하여 육안평가가 용이한 최종 분석 자료를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에 의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요소로서 바닥, 벽면은 전체적으로 컬러나 재질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었으며, 특히 바닥이 대체로 브라운 톤의 나무 재질로 되어 있어 백화점, 패션브랜드의 멀티플체인과는 달리 건물을 새로 짓거나 보수하는 일 없이 오래된 이미지를 고수하고 있었다. 둘째, 진열적 요소로서 다양한 집기, 비주얼이미지, POP, 소도구, 조명들이 사용되면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량의 개성 있는 상품을 제한된 이미지 없이 자유로운 컨셉이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셋째, 연출적 요소로서 VP는 쇼윈도 이미지 형성보다 내부 진열 위주의 다양한 상품 구성에 집중하였으며, PP는 여러 가지 집기와 소도구, 조명, POP로써 고객 확보에 효율성을 높이고 있었다. IP는 트렌디한 스타일은 시각 확보가 높은 곳에, 나머지 상품은 컬러별, 상품별로 일관성 있게 진열함으로써 많은 양의 상품을 수용함과 동시에 개성 있는 매장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넷째, 소호를 중심으로 빈티지한 이미지가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을 도출 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구성요소로서 오래된 느낌의 공간 구성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뉴욕의 소규모 패션브랜드 리테일 샵은 VMD 요소들이 다양한 상품 집중을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기 다른 매장의 컨셉 전개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통일감이 있었고 특히 VP가 쇼윈도보다는 내부에 많이 집중 되어 있었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품을 이미지로 승화시킬 수 있는 쇼윈도의 구성을 통하여 VP에서의 외부 효과와 함께 구매율도 상승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뉴욕의 패션브랜드 멀티플 체인 샵의 VMD사례를 분석하여 비교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VMD의 개념
  2.2. VMD의 구성요소
 3. 뉴욕 패션산업
  3.1. 뉴욕 패션산업 발전현황
  3.2. 뉴욕 패션브랜드 리테일 샵
 4. 뉴욕 소규모 패션브랜드 리테일 샵의 VMD
  4.1. 사례분석
  4.2. 요소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유경 Kim, Yu Kyung.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과
  • 홍수정 Hong, Su Jung.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