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관광객 유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인센티브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ttract Tourists to the Incentives of Local Governments for the Study of Policy

안현영, 서철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centives, support programs that began in 1999 municipalities around the country are performed competitively in. After more than a decade after the policy was implemented at the time of the usefulness of support systems will require a systematic check. Support programs conducted in 2010 on the status of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upports most general form, accommodation support programs for attracting foreign tourists, were incentives for foreigners to stay broken down by the number of nights is a trend that is supported. Second, the foreign tourist groups to target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fine-grained by the market system was introduced, The Chinese market or foreign travelers for math support programs have been set for it. Third, the local airport or port with the airport and port facilities to local government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ncentives have been set. Fourth, some local governments and the discriminatory incentives were implemented, Incheon tourism product that reflects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system was performed, Gunsan-city of Jeonlabukdo Province was the best support for businesses. In addition, domestic tourists visited the festival for local incentives were prepared in Gimje-city of Jeonlanamdo Province. Fifth, foreign policy-driven incentives to attract foreign and domestic nationals residing there for the incentive scheme was introduced.

한국어

지방자치단체의 인센티브 지원 정책은 1999년부터 시행되어 Inbound tour와 Domestic tour, 그리고 Intrabound tour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인센티브 지원 정책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2010년 시행되었던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인센티브 지원 정책의 현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일반적인 지원 형태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숙박비 지원이었으며, 숙박비 인센티브 지원도 숙박일수별로 세분화하여 지원하는 추세였다. 둘째, 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 정책은 목표 시장을 세분화하여 추진하고 있었으며, 특히 중화권 시장이나 외국인 수학여행객을 위한 지원책도 시행되었다. 셋째, 지역 공항이나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공항과 항만 시설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넷째,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독특한 인센티브 지원책을 시행하였는데, 인천광역시는 지역 특색을 반영한 관광 상품에 대하여 지원하였으며, 군산시는 모범 업소를 선별하여 지원하였다. 또한 김제시는 지역 축제를 방문한 국내 관광객을 위한 인센티브 지원책을 시행하였다. 다섯째, 지원 대상도 확대하여 외국인 위주의 유치 인센티브 정책뿐만 아니라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이나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센티브 지원책도 추진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방자치단체의 인센티브 지원에 관한 선행 연구
 Ⅲ. 지방자치단체의 인센티브 지원에 관한 연구 방법
  1. 자료 분석과 표본 수집
  2. 분석의 유목
 Ⅳ. 지방자치단체의 인센티브 지원에 관한 내용 분석
  1. 유치 대상별 숙박비 지원에 관한 분석
  2. 숙박 일수에 따른 차등적 지원에 대한 분석
  3. 숙박비 지원 금액에 관한 분석
  4. 기타 금전적 인센티브 유형에 관한 분석
  5. 비금전적인 인센티브 지원 유형에 관한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현영 Ahn, Hyun-Young. 대구가톨릭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외래교수
  • 서철현 Suh, Chul-Hyun. 대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