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프랑스 사회주거의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 80년대 이후 저가임대료주택(HLM) 단위주거의 공간구성개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earch on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housing in France - Focusing on spatial composition concept of HLM(low rent housing) units after the 80s -

이길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vernment-led public rental housing, unlike privately-developed high-end housing, puts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premise regarding the housing of low-income residents. Accordingly, despite the fact that unique architectural solutions are demanded due to unique conditions such as its social influence and roles, and low expense, it makes it not difficult to face small and medium-sized residential units like the microcosm of large residential units. This implies that when planning the public rental housing, the unique constructional values and the re-arrangement of composition perspectives are needed. Also, it is regarded to be tru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at there are few research accomplishments about the implication of the spatial values and residence that need to be pursued in residential units. This research that began from this is intended to suggest the perspectives of comparison through visual expansion, and for this, it has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units of HLM of France. In the constructional performances that were suggested, collectively, the quality of basic life, the rationality and freedom of living methods, and the insight regarding the role of construction for living were revealed. Those thinking were materialized with various spatial attempts, and through the interpretation,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emphasis and ultimate directing point reflected in HLM residential units. In conclusion, three perspectives were generated. They are the pursuit of pure spatial value, the suggestion of living method through residence, the individual values and the perspectives of pursuit of fairness. These directing points were the the directions of architectural practice that were based on the concept of re-distribution of income between the haves and have-nots, or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the ideology of social living called the 'sense of belong together'. This is also very meaningful in the aspect of being the modern succession of the 'Utopian Socialism' values that supported the occurrence and the diffusion of social living.

한국어

민간개발의 고급형 주택과 다르게 정부 주도의 공공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거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전제로 한다. 때문에, 그 사회적 비중과 역할, 저비용 등의 특수 여건들로 인해 독특한 건축적 해법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대형 단위주거의 축소판과 같은 중소형 임대 단위주거를 어렵지 않게 접하게 된다. 이는 곧 공공임대주택 계획 시 전제가 되어야할 고유의 건축적 가치관과 구성 관점의 재정비가 필요한 상황임을 의미한다. 또한, 단위주거에서 추구해야할 공간적 가치와 거주의 궁극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과가 희소한 데에도 문제는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시각의 확대를 통한 비교의 관점을 제시하고 자, 프랑스 저가임대료주택(HLM)의 단위주거의 공간구성에 주목하였다. 근대 이후 HLM은 그 전개과정에서 많은 문제들이 있어왔고 지금도 여전히 시행착오를 겪으며 개선책을 모색하는 중에 있다. 본론에서는 개발위주 주거정책의 대실패 이후 반성과 혁신의 70년대를 지나, HLM 단위주거계획에 나타난 주요 공간구성방식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정의하였다. 제시된 건축적 성과들에서는 공통적으로, 기본적인 삶의 질, 거주방식의 합리성과 자유로움, 거주에 관한 건축의 역할에 관한 성찰이 드러났다. 그러한 사고는 다양한 공간적 시도로 구체화되었고 그 해석을 통하여 HLM 단위주거에 반영된 건축적 주안점과 궁극적인 지향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의 관점이 도출되었다. 순수한 공간적 가치 추구, 주거를 통한 생활방식의 제시, 개별의 가치와 형평성 추구의 관점이다. 이 세 가지 지향점은 모두, 가진 자와 덜 가진 자 간의 소득 재분배 개념 즉, 사회적 연대의식이라는 사회주거의 성립이념에 근간을 둔 건축적 실천 방향이었다. 이 연구가 국내 공공임대주택 단위주거계획에 있어서 건축적 지향점 모색과 고유한 구성방법론의 정비를 위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사회주거로서의 HLM의 의미와 현황
 3. 70년대 이전의 단위주거계획 패러다임 이해
  3.1 박애주의재단의 노동자주거 ; 교화(敎化) 장소로서의 주거(1900년대 전후)
  3.2 전원단지형 HBM의 확산 : 근대성, 합리성, 경제성
  3.3 전후(戰後), '빨리, 많이, 저렴하게' : HLM의 출발
  3.4 70년대, 반성과 건축적 혁신
 4. 80년대 이후 HLM 단위주거에 나타난 특징적 공간구성개념의 정의
  4.1 공간적 여유로움(generosite)의 추구 : '어떻게 더 크게 만들고, 더 크게 인식시킬 것인가?'
  4.2 생활방식(mode de vie)에 대한 건축적 관여 : 거주방식의자유를 전제로 한 공간의 제어
  4.3 개별적 가치의 존중 : 거주성 극대화, 형평성 충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길임 Lee, Gill-Im. 동명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 프랑스건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