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3-Dimensional Visual Composition of Liturgical Space of Modern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Vatican Ⅱ -
초록
영어
The visibility of liturgical space is one of core elements for Catholic Church design. After Vatican Ⅱ(1962-65), variable types of liturgical space plan; fan, diamond, circle type and etc., have been appeared in Busan Diocese to improve its visibility with the influence of its religious spirituality; participatio actuosa, while most of Modern Catholic Church constructed before that time had been had only rectangular floor plan(Latin Cross).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objective evidences why non-rectangular liturgical space is better for its visibility because most of these types have been designed by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rchitects and Catholic priests.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establish objective evaluation method for the visibility of liturgical space based on visibility analysis model of performance hall by George C. Izenour.
한국어
천주교 성당건축의 초점은 전례(典禮, 주로 missa전례)공간의 구성에 있다. 전례는 가톨릭의 주 예배의식으로서, 그것을 수행하는 공간이 곧 성당건축의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신자들이 어떠한 방해도 없이 전례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그것은 공간의 시각적, 청각적 요소로 귀결된다. 이 중 현대 성당건축 계획에서 주목할 부분은 전례공간의 3차원 시지각 구조이다. 청각적 구조는 음향설비장치의 발달로 인해 상당부분 해결되지만, 시각적 문제는 여전히 건축디자인의 주요한 몫으로 남아있어서이다. 전례공간의 시지각 구조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상당한 변화를 보인다. 그 이전의 경우, 성소를 향한 ‘구원의 통로’라는 의미의 일방향 시선을 갖는 전통적인 장방형 평면(Latin Cross)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공의회 이후는 전례 헌장에 따른 평신도들의 ‘적극적인 참여(participatio actuosa)’가 강조되어 전례의 방향이 사제와 신자가 마주보도록 시선구조가 바뀌면서, 상호간의 시지각적 교감 증대에 초점을 두는 부채꼴, 마름모형, 원형 평면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한 건축적 변화가 전례몰입에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진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다시 말해, 공의회의 취지에 따른 전례공간의 평면유형 변화가 신자들의 시지각적 몰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객관적 평가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몇몇 사례에서 보듯이, 공의회 이후 변화된 평면구조가 오히려 일정 부분 시지각적 인식도를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런 이유에서 전례공간의 공간형태와 전례몰입도의 상관성을 평가하는 시론(試論)적 시도로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하여 부산교구 주요 성당건축 전례공간에 나타난 3차원 시지각 인식영역을 상호 비교하고자 한다. 이는 향 후 다양한 현대성당건축의 전례공간계획에 있어서 하나의 방법론적 참조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성당건축 전례공간의 구성과 시지각 인식영역 평가척도
2.1 성당건축 전례공간의 구성
2.2 전례공간의 3차원 시지각 인식영역 평가척도
3. 제2차 바티칸공의회 영향 전후 부산교구 성당건축 전례공간의 3차원 시지각 인식영역 비교
3.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영향 이전 전례공간의 분석
3.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영향 이후 전례공간의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Denis R. Mcnamara,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and the Sprit of the Liturgy, HillenbrandBooks, 2009.
- 2George C. Izenour, Theater design, 2nde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6.
- 3강인철, “한국천주교의 역사사회학”, 한신대학교출판부, 2006.
- 4권태일, 「천주교 부산교구 성당건축의 양식과 전례공간 변화경향 연구(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8 No.5 Serial No.76 – 2009.
- 5김정신, 「한국 가톨릭 성당 건축사」,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
- 6김종기, “가시체계로 본 강원도 성당건축의 단면 변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11호 2010년 11월
- 7봉래성당, 「은혜의 40년, 봉래성당 40년사」, 삼광사, 2009.
- 8부산교구사 편찬위원회/한국교회사연구소, 「교구 30년사」, 천주교부산교구, 1990.
- 9신동재, 황정현, 김진균, 「인티머시 개념을 통해 본 극장 오디토리움의 공간구조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4호, 2004년 4월.
- 10이광노 외4인, “건축계획”, 문운당, 2008.
- 11이홍기, 「미사 전례」, 분도출판사, 2010.
- 12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 가톨릭 대사전」, 1998.
- 13한국천주교 주교회의, 「미사 경본 총지침」,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