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규모 SI집합주택의 인필(Infill)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Infill System for a small scale Skeleton/Infill Housing

이용규, 김연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due to a low birth rate and aging, small sized households with one or two member(s) are dramatically being increased in South Korea. For these reasons, a number of small-scale housings with flexibility become popular. Skeleton/Infill Housing in Japan had been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modern problem of the need to respond flexibly to diversify demands on housing. In this system, the "skeleton" like building structure, which has a social nature, is separated from "infill" such as interior furnishings, which have more individuality. The public body was the unified supplier of the skeleton, and the private sector satisfied each household's needs in terms of infill using an approach of demander's participation However, nowadays, Skeleton/Infill Housing is required to solve an entirely new housing problem.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Planning methodology of infill system in Skeleton/Infill Housing which is able to can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improve the small scaled housings for one or two member(s).

한국어

근년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1-2인 가구 증가는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 증가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국민주택 규모 (85m2)이하의 도시형 생활주택을 2009년 9월 법제화 하고 공급확대를 위한 제도적 완화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1-2인 가구를 위한 소규모 주택 보급이 단지 양적 측면으로만 치우친다면 기존의 획일화된 원룸, 다세대 등 거주성이 열악한 주거가 대량으로 공급되고 말 것이다. 오히려 1-2인 가구의 양적 증가로 인해 가려져 있는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에 주목하고 이에 대응할 주거계획 방법론의 모색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거주자의 다양한 주거요구에 순응하기위해 연구 되어온 일본의 가변형 주택으로 대변되는 SI집합주택 중 85m2 이하의 소규모 사례들을 대상으로 단위주호에서의 인필 계획 특성을 명확히 하여 소규모 주택의 가변성 확보 방안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기존연구와의 차이점
  2.2 인필계획과 가변성
  2.3 인필계획의 분석틀
 3. 규모별 인필의 종류과 유형
  3.1 가변 인필의 유형
  3.2 고정 인필의 유형
 4. 규모별 인필 계획의 특성 분석
  4.1 가변인필계획의 특성 분석
  4.2 고정인필계획의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용규 Yi, Yong-Kyu.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공학박사
  • 김연준 Kim, Yeon-Joon. 경성대학교 국제무역통상학과 조교수, 경제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鈴木成文, 五一c白書. 東京: 住まいの図書館出版局, 2006
  • 2公共化住宅研究会大阪府住宅供給公社,二段階供給方式による分譲集合住宅の供給過程,1982.8
  • 3市浦都市開発建築コンサルタンツ, 可変型集合住宅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東京: 国土交通省建築研究所, 2001
  • 4建築思潮研究所, SI住宅.東京建築資料研究社. 東京: 住まいの図書館出版局, 2005
  • 5渡辺真理、木下庸子. 集合住宅をユニットから考える. 東京: 新建築社,2006.
  • 6http://www.mhlw.go.jp/index.shtml
  • 7이인석․김문덕, 1인 주거 중심의 도시형 생활주택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1호, 2009.5, pp.59~63.
  • 8이윤서․심우갑, 거주자유형에 따른 1인가구 주거계획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대회논문집 제 30권 1호, 2010. 10, pp.139~140.
  • 9강순주, 1-2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형주택 요구도에 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1.4, pp.121~129.
  • 10정다운․강순주, 맞벌이 신혼부부의 라이프스타일과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간요구도,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v.2, 2010.11, pp.178~183.
  • 11유해연, 심우갑, 도시형 생활주택의 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6권 5호, 2010. 5, pp113~120.
  • 12장아름․모정현, 1인 주거 중심의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안,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v.2, 2010.11, pp.161~167.
  • 13野城智也, サービス・プロバイダー, 東京,彰國社, 2004
  • 14高田光雄, 実験集合住宅にNEXT21おける設備一体型可変インフィル開発. 住宅系研究報告会,5, 2010. ,pp1~6.
  • 15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vable Partition Components for Facilitating of Long-life Housing네이버 원문 이동
  • 1616.斎藤広子,スケルトン型賃貸集合住宅に対応した可変インフィルの供給・管理上の課題. 都市住宅学. 29. 2000. , pp70~77.
  • 17内田祥哉,建築生産のオ-プンシステム,彰国社,1977
  • 18住サイエンス、SIは住宅生活まちをどう変えるのか、Housing Tribune、No.14 Vol.183, 2000.8
  • 19高田光雄, 利用型ハウジングシステムとしてのスケルトン賃貸型集合住宅の開発,日本建築学会大会梗概集,1999. pp377~378.
  • 20門脇耕三、SI住宅のスケルトンの改修キャパシティに関する研究、日本建築学会論文集No.543、2001.5,pp.147~153.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