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미네산 여인금제 전통의 현대적 의미

원문정보

The modern meaning of NO WOMEN TRADITION in Mt. Omine

우정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gendo is a Japanese mountainous religion. The Yamabusi people believing in and practicing Sugendo went into the scared and miraculous mountain to practice it. The mountains where the Yamabusi people are active have been closed for women since foundation of Sugendo. However, with the change of times, the ban on most of the mountains was lifted except Mt.Omine. The people who oppose to lifting the ban are the Sugendo religious order, YaKo, a group of believers, and Dorogawa residents who live in the stopping place. The reason of objection by all three groups was ‘Preserving tradition’ The order tried to lift the ban celebrating 1300th year since Enogyoja passed away with the change of times but had to withdraw the plan due to fierce objection by the Yako people. The believers constituting Yako believe that they themselves have a image of trainers who haven’t join the Sangha. Since the Yako people attend ceremonies related to Mt.Omine and practice training in Mt.Omine, the meaning of the tradition is much stronger than that of others. Dorogawa residents who have made a living by providing accommodations and meal, and selling stomach medicines make a practical argument that the number of visitors will decrease once the ban is lifted. The article reconsidered the arguments by the three opposing groups focusing on Mt.Omine which is still closed for women based on the Foucault’s cultural power. The cultural power means to ironically control, discriminate or exclude humans who themselves made the culture. The order concerns that there might be conflicts between a group of believers and the believers might leave the order, Yako fears that their status might fell greatly and Dorogawa residents worry about suffering from the hardships of life if the ban is lifted. All of them, therefore, oppose to lifting the ban in the name of tradition. But indeed the three groups have abolished or reduced the size of closed area to their convenience and the times. In other words, the main force of the cultural tradition is males and they have been pursuing profits taking advantage of the powerful tradition.

한국어

슈겐도는 일본의 산악종교이다. 슈겐도를 실천하는 야마부시(山伏)들은 성스럽고 영험한 산에 들어가 수행하였다. 야마부시들이 활동하는 산에는 슈겐도 창립시기부터 여성금제였다. 하지만 시대의 추이에 따라 대부분의 산은 해금이 되었지만 오미네산은 아직도 여인금제 구역이다. 해금에 반대하는 측은 슈겐도 종단과 신자 집단인 코, 그리고 숙박지인 도로가와 주민들이다. 반대하는 이유는 3그룹 모두 ‘전통유지’이다. 종단 측의 입장은 엔노교자 입적 1300년을 기념하여 시대의 추이에 따라 해금하고자 하였으나 얏코의 관련자들의 맹반대로 철회하였다. 얏코를 구성하는 신자들은 옛날의 재가수련자와 같은 이미지를 스스로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 오미네산지와 관련된 행사나, 직접 오미네산지에서의 수련도 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전통의 의미는 다른 집단보다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야마부시를 상대로 숙박, 식사, 위장약 등의 판매에 의거해서 생활을 유지해 왔던 도로가와의 지역민은 해금이 되면 찾아오는 손님이 적을 것이라는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로 전통를 주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에도 여인금제가 유지되고 있는 오미네산을 중심으로 해금을 반대하는 측(3그룹)의 주장을 푸코의 문화권력으로 재고해 보았다. 문화권력은 그 문화를 만든 인간을 오히려 통제하거나 차별, 배제하는 것을 말한다. 종단은 해금으로 인하여 신자집단과의 갈등이나 신자 이탈을 우려하고 있고, 얏코는 야마부시들의 위상이 흔들릴 것이라는 것, 도로가와 지역민은 생활고를 염려한다. 그래서 그들은 전통이라는 권력으로 해금을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유지라고 하면서도 교단과 코, 도로가와에서는 편의에 따라 시류에 따라 여인금제 구역을 폐지하기도 하고, 축소하였다. 즉 오미네산의 수행자들의 전통문화는 남성이 주체자가 되고, 주체자들은 전통이라는 권력을 앞세워 그들의 감추어진 권익을 추구하고 있었던 것이 된다.

목차

1. 들어가며
 2. 슈겐도 행장(行場)으로서의 오미네산
 3. 오미네산 여인금제와 해금운동 역사
 4. 오미네산 여인금제 전통의 재해석
  4.1 교단
  4.2 신자단체 코(講)
  4.3 전통숙박지 도로가와(洞川)
 5. 마치며
 【參考文獻】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우정미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