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歲朝圖에서 볼 수 있는 器皿折枝畵의 花藝史적 의미

원문정보

The Historical Meaning of Gimyungjuljihwa(Chinese Container and Cut Flower Painting) within Sejodo(Chinese New Year’s Painting) in Floral Art History

중국 세조도에서 볼 수 있는 기명절지화의 화예사적 의미

민희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기명절지화는 고동기나 자기에 꽃가지 등 여러 가지 길상물을 곁들여 그린 특수한 도상과 의미를 지닌 그림으로,부귀나 장수․자손번성과 같이 기복을 바라는 길상적 소재나 소과문(蔬果門)회화의 소재들과 함께 결합함으로써 일반 대중에게도 실용적 성격을 갖는 장식화로 애용되었다.이러한 기명절지화는 송대로부터 그 전형을 정립하여 온 후, 원․명대를 거치며 문인들의 고동취미와 결합하면서 구도와 기법 등이 변화․발전하게 되며,청대에 이르면 일정한 양식의 고착이 나타난다.
장식성과 길상성을 지닌 기명절지화는 신년에 한해의 행복과 만복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뜻을 지닌 세조도로써 집안을 장식하는 데 가장 많이 애용되었으며,꽃가지를 기명(器皿)에 아름답게 구성한다는 소재적 측면의 공통점에서 오늘날의 화예(花藝)의 한 갈래인 병화(甁花)와 친연성을 갖는다.
또한 옛 문인․사대부들이 병화를 축소된 산수자연으로 여겨 그들의 미적 취미로서 즐겼던 것은 이상적 인격을 갖추는 데 있어서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정신적으로 교섭해 준 것이 병화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들이 즐겼던 예술활동으로서의 병화작품을 재료의 한시성(限時性)때문에 오늘날의 우리들이 여타의 미술작품들처럼 만나볼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러한 시각적 자료 부족의 안타까움을 주된 소재가 병화와 일치하는 기명절지화로서 대체할 수 있는 점은 기명절지화에 화예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가 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와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기명절지화가 적용된 중국 세조도의 배경
  1. 길상적 의미의 세조도
  2. 풍요한 삶 상징으로서의 세조도 - 문인삽화(文人揷畵)
 Ⅲ. 기명절지화로 표현된 중국 세조도의 특성
  1. 기명절지화의 의미
  2. 기명절지화의 소재와 상징성
 Ⅳ. 중국 세조도에서 볼 수 있는 기명절지화의화예사적 의의
  1. 세조도에서 볼 수 있는 기명절지화의 특성
  2. 기명절지화의 화예사적 의의
 Ⅴ. 결론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희자 MIN, Hee-ja.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