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꽃작품의 특성 및 식물소재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Floral Art of Art Flower and Analysis of Species on Soo Wol Kwan Eum Do(Avalokitesvara) of Later Goreyeo Dynast

김희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되었으며,2010년도 한국중앙박물관과 1981년 중앙일보사에서 발간된 고려불화대전 및 고려불화 등의 도록에 나타난 꽃작품이 있는 수월관음도 20점을 목적표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고려시대 불화 중 특히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꽃작품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고찰과 식물에 대한 분석이다.
수월관음도에서 관찰된 꽃작품은 크게 연꽃과 버드나무 소재 꽃작품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버드나무 소재 꽃작품은 정병에 꽂은 병꽃꽂이 형태와 관음상 손에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고,연꽃 소재의 꽃작품은 관음상이 한 줄기의 연꽃을 손에 든 모습을 비롯하여 보살상의 발아래 꽃작품으로 연꽃의 봉오리,혹은 양감이 풍부한 만개한 연꽃 형상,꽃다발 형태의 반구형 작품 등을 찾을 수 있었다.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꽃작품의 식물을 분석한 결과,연꽃,대나무,버드나무,모란,장미 또는 산다화로 추측되는 붉은 꽃,국화,매화,연밥,백합꽃으로 추정되는 흰색의 별꽃 등이 조사되었다.특히 국화의 경우 고려에 국화가 유입되기 전보다 10년 먼저 제작된 등경재성회소장(1321)작품 한 작품에만 나타났다.이 작품을 통해 고려 시대 이미 토종국화를 재배하고 있지 않았나 하는 점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중국에선 이미 병사 등의 기록이 존재하고 있었으나,우리 꽃예술 문화사에서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꽃예술의 문헌이 많지 않다.본 연구를 통해 수월관음도와 같이 회화에 나타난 꽃작품을 정리해봄으로써 당시의 꽃문화를 유추할 수 있었다.앞으로 이러한 기록이 쌓여 훌륭한 꽃예술의 역사가 정리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I.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연구방법 및 내용
 Ⅱ. 수월관음도
  1. 수월관음도의 불교적 특성 및 유래
  2. 수월관음도의 회화적 특성
 Ⅲ.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식물소재 고찰
  1.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식물의 생태적 특성 및 상징성
  2.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식물 분석
 Ⅳ. 수월관음도에 표현된 꽃작품의 특성 및 고찰
  1. 수월관음도의 버드나무 작품
  2. 수월관음상의 발아래 연꽃모음
  3. 관음상 손에 든 연꽃작품
  4. 보살상 뒤쪽의 대나무 작품
 Ⅴ. 결론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희성 KIM, Hee Sung.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조경학과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