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인문학

영화 <마더>와 <시>의 모성 구현 양상

원문정보

The Aspects of Motherhood in <Mother> and <Poetry>

정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ng Junho’s (2009) and Lee Changdong's (2010) lie in the two director's unique world as a representative film of each director. But they are controversial works worth to think together in terms of shaping of motherhood. The ways to solve its elements with different approach as well as with a common set are deserve to be compared. The two films unfold the process which both old mother and grandmother confirm the truth concerning crime of their son or grandson. As for conclusion, conceals her son's sin and grandmother of accuses her grandson's crime. In each movie, the victim leading to homicide or suicide by the kin of heroine is a girl. The heroine of turned away from the girl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 of shows the process which sympathized with the victim girl. These old heroines confront the male-dominated world. While Heaja of shows the effort for intense adaptation, Mija of shows the process of quiet nonacceptance. From the overall flow of the above, the meaning and effect of the dancing in and the poem in , both heroines' self-expression, appear differently. While the dancing in locks up her in the screen and arouses the realistic limit hard to combat, a poem which heroine of left when she disappears out of the screen opens the way between film and audience and leaves ethical questions to change our society slowly. You can find meaning of two film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both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question of motherhood as well as get away from the typical image of motherhood.

한국어

봉준호의 <마더>(2009)와 이창동의 <시>(2010)는 두 감독 각자의 작품세계 안에 놓여 있기도 하지만, 모성의 형상화 측면에서 함께 생각해볼 만한 문제작들이다. 공통적인 설정과 더불어 그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풀어가는 방식이 비교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두 영화는 모두 죄지은 혈육을 지닌 어머니 혹은 할머니가 그 진상을 확인해가는 과정 중 심으로 전개된다. 결말에서 <마더>의 어미는 아들의 죄를 은폐하고 <시>의 할머니는 손자 의 죄를 고발한다. 두 영화에서 여주인공의 혈육에 의해 타살 및 자살에 이르는 피해자는 모 두 여학생 소녀이다. <마더>의 여주인공은 결국 그 소녀를 외면하고, <시>의 여주인공은 희 생자 소녀에 공감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늙은 여주인공들은 남성 중심적 세계와 대면하는 데, <마더>의 혜자는 격렬한 적응의 모습을, <시>의 미자는 조용한 불응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체적인 흐름 위에서, <마더>의 여주인공이 추는 춤과 <시>의 여주인공이 쓰는 시 의 의미와 효과도 달리 나타난다. <마더>의 춤은 그녀 스스로를 스크린 안에 가둬버리는 동 시에 이겨내기 힘든 현실적 한계를 환기시키는 데 비해, <시>의 여주인공이 화면 밖으로 사 라지며 남긴 한편의 시는 영화와 관객 사이의 길을 열면서 윤리적 물음을 남긴다. 두 영화 모두 전형적인 모성 이미지에서 벗어나, 모성에 대한 질문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는 글
 2. 인물 관계 중심으로 본 작품 전개 양상 대비
  1) 죄지은 혈육에 대한 확인; 은폐와 고발
  2) 피해자 소녀에 대한 추적; 외면과 공감
  3) 남성 세계와의 대면; 격렬한 적응과 조용한 불응
 3. 춤추기와 시 쓰기의 개별성 및 공동체적 의미
 4.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우숙 Chung, Woo-Suk.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