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혁신지원정책의 성과평가 : 경상북도 지역전략산업 인력양성사업의 사례

원문정보

Performance Appraisal of Govern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on Regional SMEs

도수관, 김병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impact of government assistance policy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on the achievements of SMEs in the regional industries in South Korea. We use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sistance policy as a proxy of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for supporting SMEs in regional industries. The achievements of SMEs is measured by business performance such as net income per employee, and technology innovation such as patents and utility models. Results from empirical models indicate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sistance by government and net income per employee of regional SMEs in Gyeongbuk region whil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sistance by govern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Colleagues and superiors also appraise that employees who participate in HRD program have more competence in work after completing HRD program. The results imply that government needs to strength investment in HRD continuously to enhance business performance of regional SMEs.

한국어

본 연구는 정부의 광역지역혁신지원정책으로서 경상북도 지역전략산업 인력양성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성과측정과 평가를 위해 지역혁신지원정책의 성과에 대한 이론적 연구들을 검토하여 지역전략산업의 인력양성사업 성과측정과 평가를 위한 측정지 표 및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인력양성사업 참 여는 기술혁신지표인 특허나 실용신안 등록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종업원 1인당 순이익과 같은 경영 성과지표와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인력양성사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의 평가는 인력양성사업의 추진체계, 사업집 행의 적절성, 성과관리 및 사후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력양성사업 교육자와 피교육자에 대한 평가 또한 비교적 긍정적인 편으로 나타났으나 전략산업군별 로 볼 때 부품소재산업 종사자가 타 산업 종사자에 비해 교육자와 피교육자에 대한 평가 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인력양성사업과 같은 정부의 지 역혁신지원사업이 지역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제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인력양성사업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략산업군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II. 이론적 논의
  1. 지역혁신지원정책 성과와 평가
  2. 경상북도 지역전략산업 인력양성사업 현황
 III. 분석 자료와 분석 방법
  1. 분석방법과 성과측정지표
  2. 분석대상과 변수
 IV. 분석결과와 논의
  1. 기술통계
  2. 인력양성사업의 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도수관 대구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 김병규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