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시각적 재현과 주체, 언어와의 관계 :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이론의 미술교육에의 함의

원문정보

Post-structural Hermeneutic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Subject,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정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 theoretical inquiry on post-structural hermeneutics which critically analyse the relation of the subject and representation within discursive practices in order to provid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for art teaching practice. We can see there are contemporary conceptual art practices which search the way of identity construction within ideologically systematic visual discourses and practices. For Lacan wh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subject with psychoanalytic views of unconscious desire, the search for identity and subjectivity is a case of hegemonic struggle to achieve stability through a particular ideological signifier. The conceptual tools, such a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offered by Lacan help to explore those discourses and practices in which teachers and learners acquire their identities and subjectivities in order expose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such identities. Such ideological forms of the subject of discourse and desire therefore require a complex hermeneutic process. The shift from phenomenological hermeneutics to critical hermeneutics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e art education practice in which it is important to expose, through dialogue, those prejudices or forms of pre-understanding that operate in traditions in order to renegotiate and reconstitute them. For Habermas institutional language is infected with processes of domination and power which distort communicative action in such contexts and it is the task of a critical hermeneutics to expose this systematically distorted communication in order to move towards a more emancipated state of communicative practice. This critical hermeneutic view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emergence of post-structural inquiry, such as Derrida's work of deconstruction and Foucault'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hich provide critical insights into the ideological power and cultural hegemony embedded in the institutionalized art education. Those post-structural hermeneutic exploration of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subjectivity helps art educators and teachers to try to work towards developing an ideological framework that is more commensurate with difference and diversity in art practices and to prize open the naturalising power of established discourses and practices and thus allow the possibility of viewing them as ideological and not natural productions.

한국어

이 논문은 주체와 재현의 관계를 언어적 실천 방식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이론을 통해 현대미술을 이해하고 이를 가르치는 교육적 실천에 대해 정체성 형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함의를 살펴본다. “인간은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말해진다”고 말한 라깡(Lacan)은 언어를 통한 인간의 욕망을 분석하는 정신분석학자로서 무의식의 존재를 통해 주체와 재현의 관계를 분석한다. 데리다(Derrida)는 이러한 주체와 재현의 관계 속에서 기의와 기표의 한계성을 통찰함으로써, 그리고 언어적 불안정성을 보여주며 텍스트의 해체를 주장함으로써, 주체와 재현의 관계 속에 이루어지는 현대 미술의 생산 방식과 교육적 실천 속에서 언어적 관행이 어떻게 주체를 소외시키고 분리시키는가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한다. 푸코(Foucault)는 담론과 권력, 주체와의 관계를 상정함으로써 주체가 타자를 통해 어떻게 소외되는가를 보여줌으로써, 현대미술의 이분법적 구조를 이해하는 방식과 현대 미술의 교육적 맥락에서 주체의 존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던져준다. 이러한 후기구조주의 해석학적 관점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근간으로 하는 교육에서 주체와 언어적 관례에 따른 담론적 실천 행위에 대해 반성하고 교사와 학습자 개개인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제각기 다른 학습자의 상황 속에서 각기 다른 이해의 방식을 이해하고 차이와 다양성을 향한 미술교육을 실천해야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서론
 정체성을 탐구하는 현대미술의 양상
 시각적 재현과 주체의 관계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현상학적 해석학의 전이
  왜곡된 의사소통의 폭로와 해방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라깡의 주체 이론
  데리다의 해체철학: 언어의 불안정성
  푸코의 담론 이론: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해방
 미술교육에의 함의
  시각적 재현과 교육적 주체의 관계: 문화와의 대화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해석학적 전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옥희 Ok-Hee Jeong. 골드스미스 대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