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s of Climate Conditions and Vegetation Environments on the Generation of Fungal Flora in Bukhansan National Park from 2000 to 2009
초록
영어
The survey of fungal fauna was conducted in Bukhansan National Park from 2000 to 2009.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otal numbers of higher fungi observed during the period are 474 species, 172 genera, 59 families, 16 orders, 5 classes and 3 phyla. Among them, the most often observed orders was agaricales with 312 species and the most frequently found genus during the period was Amanita with 35 species. For the efficient analysis of fungal fauna within the survey areas, the Bukhansan National Park are divided into 2 regions, such as east and west. The Gugi district, Songchu district and Bukhasanseong district are belong to the east region and Jeongneung district, Ui district, Dobongsan district, Wondobong district and Hwoiryong district are belong to the west region. The higher fungi found in the east and west regions are 410 and 348 speci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habitat conditions of the higher fungi is better in the east region than the west. On the respect of mycological habitat, the most fungi found in the park area were saprophitic fungi with 226 species, followed by 182 species of mycorrhizal fungi and 66 species of woodrotting fungi, which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ukhansan National Park is not optimum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fungi.
한국어
2000년부터 2009년도까지 북한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이 기간 중에 관찰된 고등균 류는 총 3문, 5강, 16목, 59과, 172속, 474종이었다. 이 기 중 북한산국립공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고등균류의 목 은 주름버섯목으로 312종이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한 속(Genus)은 광대버섯속(Amanita)으로 모두 35종이었다. 또한 북한산국립공원을 동서의 능선을 기준으로 동부지구는 구기지구, 송추지구, 북한산성지구, 서부지구는 정릉지구, 우 이지구, 도봉산지구, 원도봉지구 및 회룡지구로 나누어 각각의 지구에서 발생한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동부지구 에서 410종, 서부지구에서 348종 발생하여 동부지구가 서부지구에 비해 62종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동부지구가 서 부지구에 비해 고등균류가 발생하기에 좋은 환경이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고등균류를 서식환 경에 따라 구분한 결과 부생균이 22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 균근성균이 182종, 끝으로 목재부후균이 66 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서 아직도 북한산국립공원은 고등균류가 발생하기에는 최적의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되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
2. 조사일정
3. 조사방법 및 분석
4.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