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by grasping the degree of anxiety of Korean mothers and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because of their hospitalized children, was aimed to arrang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gram to help the mothers of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y reduce the anxiety happening due to the hospitalization of their children and adapt to their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200 people composed of 100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100 Korean mothers respectively whose children were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department of K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Daejeon City. And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ug 1, 2010 to Aug 31, 2010.As a study tool, the measuring tool of Kim Jeong Taek(1978), which STAI of Sielberger(1972) was adapted to Koreans, was used.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s. A result of the state anxiety of the Korean mothers with tha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of the inpatient children, Korean mothers 2.11,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2.17, result of temperament anxiety showed Korean mothers 2.09,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1.94.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nxiety of the Korean mothers with tha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of the inpatient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both temperament anxiety and state anxiety. In a situation of anxiety, when there was no explanation of the treatment or therapy, both Korean mothers and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showed the severe anxiety. In the degree of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of the inpatient children,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anxie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patient children of korean family mot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state of average monthly income in Korean mothers(P<.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one in temperament anxiety in the course of perceiving a test method i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P<.05). In the degree of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of the inpatient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state of average monthly income in Korean mothers(P<.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one in temperament anxiety in the course of perceiving a test method i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P<.05).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no matter wha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of the inpatient children are, regardles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patient children,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mothers felt anxiety.
한국어
본 연구는 환아의 입원으로 인한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불안 정도를 파악하여 입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을 감소시키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전 소재의 K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한국인 어머니 각 100명 총 200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Sielberger(1972)의 STAI를 한국인에 맞게 번역한 김정택(1978)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상태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 2.11,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경우 2.17, 기질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 2.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경우 1.94로 나타났다. 입원 환아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불안을 비교해 본 결과 상태불안과 기질불안 모두에서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불안상황에서 한국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 둘 다 처치나 치료에 대한 설명이 없을 때 심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 환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 환아의 경우 성별, 입원횟수에 따른 기질불안이(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에서는 월평균수입 상태에 따른 상태불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다문화가정 어머니에서는 검사방법을 인지하게 된 경로에서 기질불안이(P<.05)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환아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어떠하든지, 환아의 일반적 특성에 관계없이 자녀의 입원에 대해 대부분의 어머니의 경우에서 불안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아 어머니의 불안해소를 위한 간호가 적극적으로 계획되어 다양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불안정도
3.3 환아 입원과 관련된 불안상황
3.4 입원 환아 및 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