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is to study how to mak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a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econd is to research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music rope-skipping which forms positive emotion about a physical activity as a life-long physical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rope-skipping on elementary school, the 112 students were chosen in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Gwanak-gu, Seoul. The music rope-skipping classes were conducted every two times per a week for 12 weeks. Students were tested twice – pretest and post-test with the same checklist. The attitude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consists of 3 components such as social aspect, psychological aspect and individual aspect. Self-efficacy consists of 3 components such as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level. Independent t-test and Pair sample t-test was utilized in order to confirm effects of the music rope-skipping class. The finding of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music rope-skipping class affected the social aspect and individual aspect in attitude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the music rope-skipping class caused positive change of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in Self-efficacy. There was only meaningful changes i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leve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줄넘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학교 체육을 통해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평생체육으로서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형성하도록 하는 운동효과의 심리적 측면을 살펴보는데 있다. 피험자는 서울시 관악구 소재 W초등학교 6학년 112명으로 선정하였고, 12주간 주 2회 음악줄넘기 수업을 24회 실시한 후 동일한 검사지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체육수업태도는 사회적 측면, 심리적 측면, 개인적 측면으로 나누었고,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의 3가지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전후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음악줄넘기 수업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 중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과제난이도선호는 실험집단 내에서만 사전-사후 간 차이를 보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 연구 (새롭게 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방법
3. 실험도구
4. 자료처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사
2. 체육수업태도
3. 자기효능감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