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음폐수와 축산폐수의 혼합비율별 HRT에 따른 산발효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cid Fermentation of Food Waste Leachate and Livestock Waste Water in the Conditions of Mixture Ratio and HRT

김문환, 조시경, 오세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cid production, co-digestion of food waste leachate and livestock waste water was investigated since high alkalinity content of livestock waste water enables to reduce the alkaline agent addition. The effect of mixture ratio between food waste leachate and livestock waste water on the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 and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Mixture ratio was adjusted from 9:1 to 5:5, and external alkaline agent was not added during the acid fermentation. As results, lactate productio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ixture ratio, while propionate was the dominant at lower mixture ratio, and lactate production was minimal under 5:5 of mixture ratio at HRT 2 days. At HRT 3 days, VFA production was increased by 63.3%, 122.5%, 222.7%, 371.5% and 415.0% from the mixture ratio of 9:1, 8:2, 7:3, 6:4 and 5:5, respectively. Successful acid fermentation was achieved without alkaline agents addition through the co-digestion with livestock waste water.

한국어

실제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음폐수와 축산폐수를 대상으로 혼합비율볕 HRT에 따른 산발효 진행 시 VFA 생산, 분포 및 pH 변화 등을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음폐수의 산발효 시 AIkalinity의 주입이 요구되는데, 외부 Alkalinity의 주입량을 축산폐수와의 혼합를 통해 대체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 이다. 외부 혼합비율은 음폐수와 축산폐수의 부피기준, 9:1, 8:2, 7:3, 6:4, 5:5로 하였으며, 산발효 실험 시 별도의 약품은 주입되지 않았다. 실험결과, 음폐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Lactate의 발생이 많았으며, 축산폐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Lactate의 발생은 감소하고 Propionate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또한 혼합비율 5:5, HRT 2일의 조건에서 Lactate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VFA 생산량은 HRT 3일 기준, 혼합비율 9:1, 8:2, 7:3, 6:4, 5:5에 대해서 각각 63.3%, 122.5%, 222.7%, 371.5%, 415.0%로 증가하였으며, 생산수율은 각각 0.14, 0.22, 0.36, 0.51, 0.51로 나타났다. 축산폐수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pH, Alkalinity 및 Ammonia도 높게 나타났고, 산발효에 의한 pH 저하는 발생되지 않았으며, 유지되거나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식종균 및 기질 성상
  2. 회분식 실험
  3. 분석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VFA 생산 및 구성
  2. VFA 생산수율
  3. pH, Alkalinity 및 Ammonia의 변화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문환 Moon-Hwan Kim. 국립한밭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시경 Si-Kyung Cho.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오세은 Sae-Eun Oh. 국립한밭대학교 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