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Present Condition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linical Art Therapy
초록
영어
The field of Art Therapy in South Korea has been growing in graduate programs, institutions, academy and associations after the 1990s.
Nonetheless, it is insufficient internship venues for clinical trainees, guidelines for academic approaches, and licensure approved by national government in clinical art therapy field. It is highly emphasized on taking an action for the standards ofart therapist’s licensure systems and regulations in internal.
In this thesis, international and internal conditions of art therapist’s venues are researched.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the official licensure, and its guidelines for officially approved therapist are mentioned as well.
The rights of the art therapists and qualified clinical services from them are needed nationally indeed. Th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must have been trained by proper educations, therapist’s qualification, and services for trainee in art therapy field. The researcher suggests several requirements and applications of clinical art therapy for standardizing system of its licensure and managing by government.
These suggestions are below:
1) It is proper that the management of clinical art therapist licensure and official approval are under managed by government.
2) It is eligible that the examinations for obtaining govern license of clinical art therapists have been given for those whom are graduated master’s programs or higher degree.
3) It proposes that the applicants who must graduate from master’s program in art therapy or related their fields are eligible for gaining the govern license. Then, the applicants who can career at clinical settings must have specially trained in clinical facilities and can be examined for qualification in clinical art therapist.
4) It is separated that the art therapist’s govern license can be labeled ‘Clinical Art Therapist’ and ‘Art Counselor’. The requirement for obtaining license of ‘Clinical Art Therapist’ is that applicants must have trained in clinical settings in duration of trainees. Then, they can have taken the examination for gaining govern license. The rest of the applicants can be separated into ‘Art Counselor’ which is different career from the ‘Clinical Art Therapist’.
한국어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여러 미술치료 대학원과 학회, 협회, 교육원 등이 생겨나고 있지만 미술치료에 대한 체계적인 학문적 접근이나 임상실습여건이 미비한 상황이다. 또한 미술치료 자격이 국가 공인 자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미술치료사에 대한 자격관리와 관련 규정이 전무한 상태이며, 치료사의 자격 관련 제도가 미흡하여 미술치료 관리체계의 표준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현황, 우리나라 현재 미술치료사의 현장에서의 실태 및 파악, 치료사 추진제도의 필요성 및 활용도를 넣었다.
미술치료사들의 직업적 권익 보호 및 서비스를 받는 환자들의 양질의 의료 서비스, 치료사들의 의료, 인성, 교육의 질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의 국가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임상)미술치료 표준화 제도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임상미술치료사의 자격관리는 국가가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국가자격 또는 민간자격을 국가가 공인하여 운영하는 국가공인자격이 바람직하다.
둘째, 자격취득 요건은 적어도 대학이나 대학원을 졸업한 전공자에게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셋째, 미술치료 관련 대학원 졸업자에게 ‘미술치료사’ 자격을 부여하고, 별도의 교육과정을 거쳐 국가(공인)자격시험에 의해 의료기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임상미술치료사’ 자격을 부여한다.
넷째, 치료사 자격을‘ 임상미술치료사’와‘ 미술상담사’로 구분한다. 치료사 양성 과정에 있어서 의료기관에서의 임상수련을 마친 후 국가(공인)자격시험을 통해 전문성이 확보된 치료사는 ‘임상미술치료사’의 자격을 가진다. 그 외는 ‘미술상담사’로 의료기관 외의 기관으로 활동 영역을 구분한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5.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본론
1. 임상미술치료의 개념
2. 국내 임상미술치료 현황
3. 국외 임상미술치료 현황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