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 日, 中 3국의 漢字의 受容과 変容 - 常用漢字의 글자체와 意味의 比較를 통해 -

원문정보

Acceptance and Transfiguration of A Chinese character in Korea, Japan and China - A Comparison of the Type and the Meaning in A Chinese character in common use

한, 일, 중 3국의 한자의 수용과 변용 - 상용한자의 글자체와 의미의 비교를 통해 -

손동주, 채영희, 김창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들어가기
 2. 한국, 일본, 중국의 상용한자의 글자체 비교
  1) 삼국의 상용한자
  2) 삼국의 글자체의 공유화 비율
 3. 삼국의 한자 어휘 비교
  1) 삼국에서 같이 사용하고 있는 경우
  2) 중국과는 다른 한자어휘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3) 일본에서만 달리 사용하고 있는 경우
  4) 한국에서만 다른 한자어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5) 삼국에서 각각 다른 한자어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4. 자료를 통한 삼국의 한자명사 분석
  1) 일한사전
  2) 국제교류기금의 일본어능력시험에 나온 한자어
  3) 읽는 방법에 따른 삼국의 한자명사의 의미 비교
 5. 마무리
 참고문헌
 일본과 한국이 서로 다른 글자체를 사용하는 경우(부록1)
 일본과 중국에서 달리 사용하는 한자(부록2)
 한국과 중국에서 달리 사용하는 한자(부록3)
 삼국에서 달리 사용하는 한자(부록4)
 삼국에서 같이 사용하는 한자(부록5)
 일본어 능력시험에 나오는 あ行 한자명사(부록6)
 Abstract
 저자사항

저자정보

  • 손동주 Son, Dong Ju. 부경대
  • 채영희 Chae, Young Hee. 부경대
  • 김창경 Kim Chang Gyeong. 부경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