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지경제와 경제제도

원문정보

Institution as a Means to Economy of Cognition

유동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stitution is variously defined as the customary arrangement for repeated human interaction, formal and informal rules, the set of working rules that contain prescriptions that forbid, permit or require some action or outcome, or the humanly devised constraints that shape human interaction. It generates a regularities in human behavior by coordination and constraining. Its major function is to make human behavior more predictable. Because of human's limited cognitive processing capacity, regularities generate cognitive economy: they save scarc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for important decisions while putting routine decision into background, following well established behavioral procedure. Institutions in themselves are cognitive constructions. They represent regularities in human behavior. They emerge in response to the need to deal with asymmetric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society. Institutions are to help us manage the consequence of incomplete knowledge that generate uncertainties in a more efficient way. Unlike capitalist free market, central planners do not use all the dispersed information embodied in our sensory orders. Central planner who needs all th knowledge about individual actions for a economic planning faces a barrier due to the presence of individual cognitive limit. This means the evolutionary advantage of free market compared with centrally planned economy. From this regards the collectivism widespread in Korean society, though extinct in the long run, needs to be to warned avoid unnecessary social cost.

한국어

제도는 인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관습적 협약을, 공식적 및 비공식적 법칙을, 행위나 결과를 금지, 허용 및 지시하는 법칙을,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끄는 인간이 고안한 제약 등, 여러가지로 정의된다. 그 주된 기능은 인간행동을 보다 더 잘 예측하도록 하는데 있다. 인간의 제한된 인지처리능력으로 규칙성은 인지경제를 만들어낸다, 즉 사람들은 희소한 자신의 정보처리능력을 절약하려고, 잘 확립된 행동절차를 쫓아, 일상적인 결정을 밑바탕으로 하여 의사를 결정한다. 제도는 그 자체 인지활동의 산물이 다. 제도는 인간행동에 규칙성을 보여주는데 사회에 비대칭적으로 분산된 지식을 다루기 위한 필요에 대응하여 탄생하였다. 제도는 우리가 불확실성을 창출하는 불완전한 지식의 결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도운다. 자본주의 자유시장과는 달리, 중앙계획가는 인간의 감각적 질서에 체화된 분산된 모든 정보를 사용하지 못한다. 경제계획을 위해 개인들의 행동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중앙계획가는 개인의 인지한계로 말미암아 장벽에 부닥친다. 이는 중앙계획경제보다 자유시장경제가 진화상 우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사회에 널리 펴져 있는 집단주의는, 장기에 가면 사라지겠지만,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피하기 위해 경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한글초록
 I. 서론
 II. 제도의 의의
 III. 인지와 지식
 IV. 적응적 합리성
 V. 마음과 제도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동운 Dong-Woon Yu.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