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 few Korean Buddhist paintings in the United States such as rare paintings from the Goryeo dynasty are well recognized and much appreciated. However, the rest of paintings which mostly date to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ere hardly introduced with few exceptions. As a matter of fact, there is currently no accurate information on the Korean Buddhist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Study on Korean Buddhist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understudied not to mentio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paintings of the late Chosun period but also the paintings of the Goryeo and early Chosun which have been rigorously studied since the 1980’s in Japan as well as Korea.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and the early Chosun dynasties out of about sixty paintings which I have investigated including sutra illustrations. Paintings from the late Chosun from the eighteenth to twentieth centuries, some of which I still have not seen, are excluded.
Buddhist painting of the Goryeo in the United States mostly consists of paintings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which correspond with the existing trend. However, unprecedented exceptions were found such as Avatamsaka Sutra illustration and painting of descending Tejaprabha Buddha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and painting of Amitabha and Ksitigarbha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Dates of many Korean Buddhist paintings remain unknown or misdated. For instance, painting of Ksitigarbha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is introduced as a copy although it is actually the fourteenth century painting of the Goryeo dynasty. Further, painting of Three Bodhisattva also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is not the seventeenth but the sixteenth century painting of high quality.
Korean Buddhist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has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since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er who specialized in the field.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process, I found that there is hardly any published information to have a grasp on the status of Korean Buddhist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In fact, such phenomenon is similar to what overseas Korean art in general faces today due to the lack of researchers as well as available information. This, in turn, has led to the underestimation of Korean art in comparison to Chinese and Japanese art.
Investigation of artworks regardless of field or region requires in-depth analysis by professionals. In fact, overseas Korean art in general are hardly evaluated in proper manner due to the relatively recent development of the study of art history in Korea. Especially concerning overseas Buddhist painting,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re has not been any in-depth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vestigation by professional researchers will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overseas Korean Buddhist painting but also promote research in the field. Meanwhile, overseas investigation requires a careful planning. Since artworks are not only stored in different forms but also move according to exhibition schedules, it is crucial to obtain information on artworks in advance. Especially, many Buddhist paintings are framed in glas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s. Further, it is impossible to take photos without special devices in such case. Therefore, it is important on the part of prior researcher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and state of artworks so that proper investiga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한국어
미국에 소재하는 한국의 불화는 높은 평가와 더불어 희소성의 고려시대 불화처럼 잘 알려진 경우도 있지만 그 이외의, 예를 들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19, 20세기 불화에 관하여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공개된 사례가 거의 없어 그 수량을 알 수 없다. 있는 방법을 찾기가 어렵다.
미국에 있어 한국불화의 연구는 아주 미진하여 조선시대 18, 19세기의 불화는 말할 필요도 없고, 국내 및 일본에서 이미 198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인 검토가 시작된 고려 및 조선전기의 중요한 불화에 대한 검토도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필자가 미국 현지에서 조사한 사경을 포함한 60여점의 한국불화 가운데, 여전히 실견하지 못한 많은 조선시대의 18~20세기의 작품은 제외하고, 우선 집중적인 검토를 필요로하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전기의 불화를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미국 내의 고려불화는, 기존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아미타여래도, 관음보살도, 지장보살도가 거의 대부분이나, Museum of Fine Art Boston의 華嚴經變相圖, 熾盛光如來往臨圖,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의 阿彌陀如來·地藏菩薩竝立圖와 같이 유례가 없었던 도상도 있다.
미국소재 한국불화는 정확한 제작시기 조차 모르거나 잘못 알려진 경우가 있다. 즉 Museum of Fine Arts, Boston의 地藏菩薩圖는 고려 14세기의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모사본이라 알려졌으며, 三藏菩薩圖역시 17세기가 아니라 16세기의 화질이 높은 그림이었다. 즉, 미국의 한국불화는 현지에 해당 연구자가 없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였으며, 심지어는 그 실체조차도 파악하기 어려울 만큼 공개된 정보가 거의 없는 실정임을 현지 조사 시에 절감하였다. 이는 연구자의 빈곤과 자료의 부족이 악순환하는 한국미술 전반의 현상과도 일맥상통하였으며, 중국, 일본미술에 비하여 지극히 과소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우선, 불화의 조사는 어느 분야, 어느 지역, 어느 국가도 마찬가지 이지만 전문 연구자에 의한 본격적이고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해외에 있는 한국미술은 미술사 연구의 짧은 역사 때문이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제대로 평가 되지 못하였는데, 특히 불화의 경우는 애석하게도 이제까지 전문가에 의한 실사와 연구가 시행된 사례가 없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전문 연구자에 의한 조사 연구는 한국불화의 참된 모습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마련되며 더불어 활발한 연구와 공개를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 오리라 믿는다.
한편, 해외의 조사는 치밀한 계획이 특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사전에 작품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획득해야 한다. 즉 작품들은 다양한 형태로 보관되어 있으며, 전시 스케줄에 따라 이동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소재 불화들은 유리케이스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육안으로도 제대로 된 조사가 불가능하며, 이 경우 일반적인 촬영방법으로는 제대로 된 화상자료를 얻을 수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조사자는 적어도 관련분야 연구자들이 제대로 조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작품의 현상 정보를 적극 공개해야 한다.
목차
Ⅰ. 한국불화의 현황
1. 여래도상
2. 보살도상·기타
Ⅱ. 新 圖像 및 전통의 계승
1. 阿彌陀如來·地藏菩薩竝立圖
2. 釋迦說法圖
3. 羅漢圖
Ⅲ. 制作時期 및 再考
1. 地藏菩薩圖
2. 三藏菩薩圖
3. 阿彌陀八大菩薩圖
에필로그-조사 연구 과제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키워드
- 미국소재 한국불화
- 고려불화
- 조선불화
- 조선전기불화
- 아미타여래·지장보살병립도
- 삼장보살도
- 청법자
- 화기
- Korean Buddhist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 Goryeo Buddhist painting
- Chosun Buddhist painting
- Early Chosun Buddhist painting
- Painting of Amitabha and Ksitigarbha
- Painting of Three Bodhisattvas(Samjangbosal)
- On who asks for the Law
- Painting In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