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禁口形金鼓의 造形과 展開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 and Development of Korean Kumku-shaped Buddhist Gong

한국금구형금고의 조형과 전개

최응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erms ‘Kumku’(禁口) and the form of Korean Buddhist gong were set up at 9th Century Unified Silla. In form Buddhist gong of 9th Century Unified Silla the side got thicker and the back formed resonance mouth was into narrow(2nd type). The frontal that was no patterns was decorated with lotus design around the striking point.
Coming to Goryeo period, however, Banja-shaped Buddhist gong(1st type) that was the wider resonance mouth of the back began to be produced.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Unified Silla like Buddhist gong excavated at Ingaksa temple site began to appear again in the 12th century.
This type followed the narrow resonance mouth, however, the width of side was narrower than that of Unified Silla. But after the 12th century,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that inherited style of Unified Silla not only began to make but also followed the traditional terms.
In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the epoch-making changes occurred in the early 13th century. This type so called Waniguchi(鰐口) style formed side resonance mouth instead of the back resonance mouth(3rd type). Until now the oldest Waniguchi style gong was the Buddhist gong with the inscription Gyeongseonsa temple(景禪寺) that was made in 1214, but the Buddhist gong with the inscription Gwaneumsa temple(觀音寺) in Japan turned out to be the oldest one.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maintained the tradition of Unified Silla style until the 12th century,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style was made in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According to inscriptions on the gong, Kumku-shaped and Banja-shaped Buddhist gong were different in Idu(吏讀) representation. But these two types were understood byput in the same category.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Goryeo that was not made from the early 13th century to the late 13th century began to be made coming to the 14th century.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with Sanskrit characters of Hokuji temple(普光寺) in Tsushima of Japan is likely to be made in the early Joseon.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of Unified Silla that started to show up in the middle 9th century formed a narrow resonance mouth in the back. Coming to Goryeo period, the Kumku-shaped Buddhist gong that inherited the former style developed two different types, Kumku-shaped and Banja-shaped Buddhist gong. For the late Goryeo period 3rd type Buddhist gong still remained, in addition this type Buddhist gong lasted by the early Joseon period.

한국어

우리나라의 금고는 통일신라 9세기쯤 禁口라는 명칭이 정립되고 측면이 두터우면서 뒷면이 안으로 좁아진 共鳴口를 형성한 형태에서 출발하여 고면에는 아무런 문양이 시문되지 않다가 점차 撞座주위로 간략한 연화문이 시문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와 후면의 공명구가 확장된 새로운 금고 형식인 盤子形금고, 즉 1형식 금고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麟角寺출토 금고와 같은 통일신라의 禁口形金鼓는 고려시대 12세기 중엽 쯤 부터 다시 보이기 시작하는데 후면의 작은 공명구를 뚫는 형식은 따르고 있지만 側幅이 그다지 두텁지 않아 고려 반자와의 절충 양식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12세기 이후에 들어오면 측면의 폭이 두터워지는 통일신라 금구형 금고의 형식을 계승한 작품이 제작되었고 ‘禁鼓, 禁口’와 같은 전대의 명칭을 다시 사용하였다. 고려 금구형 금고의 획기적인 변화는 13세기 초에 이루어지는데, 후면의 공명구가 완전히 막히고 측면에 裂口式공명구가 뚫리는 일본 와니구찌[鰐口]식 금고의 출현이다. 그 시기는 지금까지 알려진 景禪寺銘금구(1214년)보다 앞선 1204년 觀音寺銘금고가 가장 이른 예로 새롭게 밝혀졌다.
이처럼 고려시대의 禁口形金鼓는 12세기까지 뒷면에 작은 공명구가 뚫린 통일신라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13세기 초부터 앞, 뒤가 막히는 새로운 고려 금구형 금고가 만들어지게 되어 새로운 계승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남아있는 명문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이 두 가지 형식은 금구라는 통일신라의 명칭을 중심으로 吏讀式표현만이 다를 뿐 당시에도 이 두 가지 형식을 금구의 범주에 넣어 이해하였다는 점을 파악해 볼 수 있다. 13세기 전반 이후에는 금구형 금고 대신 고려시대의 새로운 형식인 반자형 금고가 주로 제작되어 13세기 말까지 금구형 금고의 예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가 14세기에 들어와 두 점의 금구형 금고를 확인할 수 있으며 1351년에 제작된 感恩寺址반자의 명문에 기록된 飯子와 禁口의 명칭을 분명히 구분하여 기록한 점을 통해 고려 말까지 금구형 금고가 꾸준히 제작되었던 사실을 입증해 준다.
조선시대의 금구형 금고로서는 일본 對馬島普光寺소장 梵字文금고가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작품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따라서 통일신라 9세기 중엽 경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뒷면에 작은 공명구가 뚫린 한국의 금구형 금고는 고려시대에 들어와 두 가지 형식으로 계승을 이루다가 고려 후기에 와서는 2 형식은 사라지는 대신 3형식만이 남게 되고 조선 전기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金鼓의 기원과 조형
 Ⅲ. 禁口形金鼓의 명칭과 형식
 Ⅳ. 禁口形金鼓의 시대적 양상과 특성
  1. 통일신라의 禁口形金鼓
  2. 고려시대의 禁口形金鼓
  3. 조선시대의 禁口形金鼓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최응천 Choi Eung-chon. 동국대학교-서울,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