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한국어교육의 실천과 과제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초급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Beginning Level Listening Instruction in Korean Utilizing Dictogloss

박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rst language skill necessary for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to fluently communicate is listening. Especially, beginner leaners have difficulty in listening because of different phonological, grammatical and syntactic structure from their native language.
However, listening education has been only performed focused on confirmation of contents after teacher-centered listening in Korean educational arena so far regardless of this difficulty. Leaners only did a passive part in finding answers after listening to the text given by a teacher.
Also, teachers are under restrictions in teaching due to difficult listening comprehension procedure which is unmanageable in casting teachers eyes over check.
This study intends to utilize dictogloss to derive active activity of learners.
Dictogloss is a technique based on focus on form. It is similar to dictation but does not make students transcribe the text. In general, a teacher read a text twice or three times and learners write key words at the second time; then the teacher asks students to reconstruct the text to the similar recollection of meaning through a group activity. Existing dictogloss is aimed at intermediate learners but it can apply to beginners if a teacher prepares a text considering circumstances of a class and students. However, a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plan is suggested in a class aimed at beginners not is utilized.

한국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필요한 언어 기능은 듣기이다. 특히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은 모국어와 다른 음운 체계, 문법 체계, 통사 체계 때문에 듣기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듣기 교육이란 학습자들의 이러한 어려움과는 상관없이 교사 중심으로 들은 후 내용을 확인하는 정도로만 이루어져왔다. 학습자들은 교사에 의해 제시되는 텍스트를 듣고 답을 찾는 수동적인 역할을 할 뿐이었다. 또 교사들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듣기 이해 과정 때문에 교수 활동에 제약을 받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듣기 활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 ‘딕토글로스(dictogloss)’를 활용하려고 한다.
딕토글로스는 형태초점교수법(focus on form)에서 제시한 기법의 하나이다.
받아쓰기와 비슷하지만 교사가 부르는 발화문을 그대로 옮겨 쓰지 않는다.
보통 교사가 텍스트를 2~3번 읽어 주는데, 학습자들은 두 번째 듣기에서 중요한 어휘들을 적는다. 그리고 모둠 활동을 통해 들었던 텍스트 내용과 비슷하게 의미를 재구성한다. 기존의 딕토글로스 연구는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했지만 교사가 수업 상황과 학습자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준비한다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딕토글로스를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 초급 학습자 대상의 수업에서 활용된 것이 아니라 방안만 제시한 것이므로 연구의 한계는 있다.

목차

1. 머리말
 2.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듣기 교육
 3.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진희 Park, Jin-hee.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교육학협동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