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프랑스 보험법의 현황과 과제

원문정보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oint at Issue of French Insurance Law

원용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has the objective of providing a broad perspective on French Insurance Law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our future legislation. Like the U.S Insurance Law, French Insurance Law encompasses both legislative provisions on contracts of insurance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of Insurance Law, French Insurance Law can be considered to be the earliest written one which included provisions of Marine Insurance Law in the world. Because French Commercial Code of 1807, which was enacted for the first time on earth as a written commercial law, comprised Marine Insurance Law. It is noteworthy that the sources of French Insurance Law are Article 1134 of French Civil Code that provides single-faced peculiarity of enforcement, French Code of Insurance, French Code of Consumers and related EU Insurance Law. By and large,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e structure of French Code of Insurance is carefully examined. In the process of this examination, we can find that, at the level of the structure, there is little or no difference between French Insurance Law and that of the other nations such as United States, England, Canada, Germany and Japan. In the second par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e and contents of French legal science about Insurance Law, we introduced some legal doctrines. In the third part, the role of jurisprudence created by French Supreme Court is the important subject. In the course of this study, we can ascertain that French Supreme Court ha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French Insurance Law. Especially delivering judgement on an insurance company on account of a breach of loyal duty can be a model of what a good court ought to do. In this respect, French Supreme Court can be a good guide to the research of our relevant jurisprudence. In conclusion, we can safely say that the best legislative alternative is to elaborate independent insurance law that is most suitable for our legal surroundings in consideration of brilliant foreign insurance law such as French Insurance Law that has made gradual progress for so long.

한국어

우리나라 상법은 2011년 5월 23일의 개정에 의하여 제6편 항공운송이 신설되는 등 상호간에 이질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방대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보험법이 상법 제4편(보험) 에 규정된 법규와 보험업법을 합쳐 단행법화하여 독립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점점 유 력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보험법의 단행법화를 위하여, 오랜 역사를 가진 프랑스 보험법을 모범으로 하는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프랑스 보험법은 해상보험에 관한 규정을 1807년의 상법전에 편입시켜 해상보험에 관한 세계 최초의 통일된 법전으로서의 지위를 차지한 후 프랑스 민법전 제 1964조에 규정된 사행계약으로 서의 보험계약과 병존하면서 발전해 왔다. 1930년 7월 13일의 육상보험에 관한 보험계약법과 1905년의 보험업감독법 등이 통합되어 1976년 7월 16일의 명령에 의하여 1326개 조문으로 구성 된 보험법전이 탄생하였다. 그 후 20세기 말부터 프랑스 보험법은 유럽연합의 보험법의 영향을 받아 현대화되어 왔다. 본 논문은 프랑스 보험법의 이론과 실무의 심도있는 연구를 하지 않고, 동법의 구조와 체제, 관련 분야의 저명 학자의 견해 및 해당 대법원 판례의 역할 등을 검토한 후 프랑스 보험법의 과 제와 우리나라 보험법의 기본적 구조 및 체제에 관한 미래의 전망을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랑스 보험법은 미국·영국·독일·일본 등 주요 국가 보험법과 비교해 보건대 내용 면에서 유사하다는 것과 매우 다양한 보험상품을 규율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프랑스 대법원은 보험계약법의 미비와 불비를 보완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타인을 위한 보험계약법리, 책임보험법리, 보험전문직업인의 피 보험자에 관한 계약 체결 전의 정보수집의무, 보험자나 보험중개인이 지는 정보의무, 보험자나 보험중개인의 자문의무, 프랑스 민법 제 1162조와 보험법전 제 113-1조에 따른 보험증권상의 애 매모호한 조항의 해석 원칙, 보험자의 충실의무 법리, 프랑스 민법 제 1131조에 근거하여 확립한 책임보험증권상의 피해자 청구조항의 해석 원칙 등은 프랑스 대법원이 이룩한 빛나는 업적이다. 이 러한 프랑스 대법원이 이룩한 훌륭한 업적과 프랑스 보험법의 법원인 프랑스 민법 제1134조, 보험법전, 소비자법전 및 관련 EU 법규범 등을 참고로 하여, 국내의 전문가 견해를 수렴한 후 우리나라 상법 제 4편(보험)과 보험업법 등을 통합하여 보험법을 독립된 단행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목차

초록
 Ⅰ. 서언
 Ⅱ. 프랑스 보험법전(Code des Assurances)의 구조와 체제
 Ⅲ. 프랑스 보험법의 전반적 체계와 내용에 관한 이해
 Ⅳ. 프랑스 보험법에서의 프랑스 대법원 판례의 역할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용수 Yong-Soo, Won.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