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시브랜드 구축을 위한 전용서체 사례 연구 - 서울특별시와 제주특별자치도 전용서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Building for City Brand about the Brand Identity Letter Type - Focus on Seoul City and Jeju Island Brand Identity Letter Type -

석중휘, 김보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the center of the country away from the competition emerging as the center of the city is expected as the era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trend, local govern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major cities and abroad will continue efforts in branding. Public and more recently interest in design,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city and its visual design is visual identity for integration. However, ignoring the flow of policy and non-professional era castle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public facilities has been applied a lot of visual identity design.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ost or effort is not effective. The results for the city brand visual identity is important. Unit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but in a systematic and efficient progress in the city's identity and order when it is built. This study for the city brand visual identity for the application of a systematic and efficient, and the municipalities of the visual identity of the elements showing the trends of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urrent through a brand identity letter type analysis problems examined. The results for the local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design human plasticity, public good reada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media in terms of scalability improvements of the current font with only a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is going to offer. The future urban brand visual identity for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design guidelines utilized as basic materials, will have its significance.

한국어

오늘날은 국가 중심의 경쟁구도에서 벗어나 도시가 국가경쟁력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시대다. 이러한 추
세에 맞춰 대한민국의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현재 대·내외적 경쟁력 제고를 위한 도시브랜딩에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함께 최근 공공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시각적 통합을 위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도입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미처 시대적
흐름을 예측하지 못한 정책적 시스템 부재와 전문성 결여로 현재 각 지자체에는 각각의 환경과 공공시설물과의 조화가 고려되지 않은, 즉 목적의 구분 없는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가 과하게 적용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비용이나 노력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다. 결국 도시브랜드를 위한 비주얼 아이덴티티는 결과물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대·내외적 환경 안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때 비로소 도시의 정체성과 질서가 바로 세워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를 위한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그리고 그 요소들 중 최근 급격한 개발 추세를 보이고 있는 전용서체 분석을 통해 현재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지역의 특성을 표현한 독창성, 디자인적 조형성, 공공성을 위한 인지성, 다양한 매체 적용을 위한 확장성 측면에서 현재 전용서체의 개선점과 함께 향후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는 향후 도시브랜드를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활용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전용서체의 이해
  2.1. 전용서체의 개념 및 특성
  2.2. 도시브랜드와 전용서체
  2.3. 지방자치단체와 도시브랜드
  2.4.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전용서체의 조건
  2.5. 해외 전용서체 사례
 3. 지방자치단체 전용서체 분석
  3.1. 서울특별시 서울서체 분석
  3.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서체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석중휘 Souk, Jung Hwi. 숭의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 교수
  • 김보영 Kim, Bo Young. 숭의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