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1960s, a large number of Korean immigrant businesses have thrived in inner-city African American communities; however, starting in the early 1990s, Korean business owners gradually started exiting these areas. This paper tracks these exiter-owned businesses and investigates their characteristics in view of their structural locations in the entrepreneurial market. The results of a survey of sixty-six Korean immigrant business owners in the Chicago area reveal that the market into which exiters are drawn after departing from the secondary market in inner-city African American neighborhoods is the ethnic niche market characterized by the small scale of business, high labor intensity, short duration, amorphous spatial distribution, and heavy reliance on ethnic resour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exiters’ incorporation into the American economy is unfolding in a distinct manner compared to that of the Jewish merchants who left inner-city African American neighborhoods several decades before Koreans, due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and heightened intra- and inter-ethnic competition.
한국어
1960년 대 이후 미국 대도심 흑인지역 내 한인 상권은 꾸준히 번창했다. 하지만 1990년 대 초 이후 이 지역을 떠나는 한인 이민자 사업자들의 수가 점차 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도심 흑인지역을 이탈하는 한인 이민자 사업자들을 추적하고, 이들의 상업적 특성을 자영업 시장 내 구조적 위치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미국 시카고 지역의 한인 이민자 사업자 예순 여섯명에 대한 서베이 조사 결과, 한인들이 도심 흑인지역 내 이차시장을 이탈한 후 재정착하는 장소는 규모가 작고 노동강도는 높으며 지속기간은 짧은 한편 민족자원에 대한 의존도는 높고 공간적으로는 무정형적 형태를 띠는 민족 니치시장임임이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는 도심 흑인지역을 이탈하는 한인 이민자 사업자들의 경제적 정착과 적응 과정이 한인들보다 수세기 전 미국에 이민 온 유대인 상인집단과 비교해 사뭇 다르고 독특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1. Types of markets available to immigrant entrepreneurs in the United States
2. Exiters’ destination: The primary market or other market types?
III. Methods
IV. Findings
1. Type and kind of business
2. Scale, duration, and labor intensity
3. Utilization of ethnic resources
4. Ethnicity of customers and place of business
5. Reasons for relocation and self-evaluation of the profit margin improvement after relocation
V.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요약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