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방과후학교정책의 학교교육 기능 강화 가능성 탐색 : 정규 수업과 방과후학교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Possibilities of After School Programs to Improve the Function of Schooling : Focusing on Comparisons between Regular and Afterschool Classes

김정현, 박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fterschool programs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chooling. The research question is raised from the doubts about functions and meanings of afterschool programs in a school. In other words, afterschool programs are questioned if they rather interfere with regular classes by increasing teachers' workload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fterschool classes are compared with regular ones in terms of teachers' preparation, classroom practices, and students' outcomes. The results show that afterschool classes are overall worse perceived than regular ones in terms of preparation, practices, and outcomes. On the one hand, the results that regular classes are better than afterschool classes become a good sign because they mean that the schools are working well.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give a warning to afterschool programs. These conflicting interpretations urg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and afterschool classes for better schooling. Based on the well-defined afterschool functions in a school,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is expected.

한국어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학교교육 기능 강화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의 수업 준비, 실행, 성과 수준을 정규 수업과 비교, 검토하였다. 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맞춰 개설되는 방과후학교수업은 정규수업보다 실행과 성과 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연구결과 오히려 방과후학교의 경우 수업 준비, 실행 및 성과 수준이 더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서울시 소재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방과후학교 정책에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교교육 기능 강화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이에 맞게 방과후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재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방과후학교가 학교 교육 강화 기제로 작동하지 않는 원인을 찾고, 원인별 해결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해 정책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1. 방과후학교 정책 의도와 현실
  2. 방과후학교 정책 관련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수업 준비
  2. 수업 실행
  3. 수업 성과
 V. 결과 해석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현 Kim, Jung Hyun. 방송통신대학교 연구원
  • 박소영 Park, So-Young.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