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한국위기관리 연구경향 분석 :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Trends of Crisis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류상일, 이민규, 정석환, 강형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in the research in crisis emergency managem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have used the method of network text analysis to carry out an analysis of research centrality of the field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in Korea with the 130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2003~2011). This is for investigating the connective relations among studies escaping from the frequency based research tendency among the existing studies i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for approaching the trends in the research i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in Korea from a novel perspective by grasping central research themes. As a result, first, the importance of research themes was grasped from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as in the order of emergency management (19 times), crisis management (17 times), national crisis management (7 times), national crisis (6 times), terrorism (6 times), and emergency (5 time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network analysis shows certain differences from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as the centrality turned up in the order of ‘emergency,’ ‘crisis management,’ ‘terrorism,’ ‘emergency management,’ and ‘national crisis.’ This can be regarded as an output that shows the adequacy of this study which assumes that the network analysis considering all the actual connective relations can reveal more precise research patterns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than the tendency of the existing studies which designated that research themes with a high frequency are important. In conclusion, we can see from this study that research in crisis management is being carried out on very diverse sides (dimensions) in Korea, and ‘emergency,’ ‘emergency management,’ and ‘crisis management’ play the role of adjusting other single research themes as ‘emergency management,’ ‘crisis management’ and other research themes explaining them in the dimension of national crisis with ‘emergency’ being the center of research theme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위기관리분야 연구경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위기관리논집」에 게재된 130편(2003년-2011년)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한국 위기관리 연구분야의 연구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연구경향을 분석함에 있어 기존 연구들과 같이 빈도 위주의 연구경향에서 탈피하여 연구 간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고, 중심이 되는 연구주제를 파악하여 한국 위기관리 연구의 연구경향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기 위함이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주제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에서는 재난관리(19회), 위기관리(17회), 국가위기관리(7회), 국가위기(6회), 테러(6회), 재난(5회) 등의 순으로 중요성이 파악되었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는 ‘재난’, ‘위기관리’, ‘테러’, ‘재난관리’, ‘국가위기’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연구주제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와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것은 빈도분석의 숫자가 높다고 하여 연구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기존의 연구경향분석 보다는 실제 연결 관계를 모두 고려한 네트워크 분석이 양적․질적 수준의 차원에서 보다 정확한 연구패턴을 볼 수 있다는 연구의 타당성을 보여주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위기관리연구는 매우 다양한 측면(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중심은 ‘재난’이 중심이 되어 ‘재난관리’, ‘위기관리’, 그리고 이를 국가위기의 차원에서 설명하는 연구주제가 형성되면서 다른 각각의 연구주제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한국 위기관리 연구의 계보
 Ⅲ.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과 절차
 Ⅳ. 분석결과
  1. 한국위기관리연구의 연구주제어 분석
  2.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위기관리 연구경향의 패턴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상일 Sang Il Ryu. 세한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 이민규 Min Kyu Lee.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정석환 Seok Hwan Jung. 중앙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 취득
  • 강형기 Hyung Kee Kang.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