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 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itizen's Perception of Social Safety and Risk : With a Focus on Regional Governments

서재호, 이승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d influencing factors of citizen's perception of social safety and risks with a focus on regional governments. For this we built 48 panel data sets based on 16 regional government for 3 years. As influencing factors we proposed economic, social, managerial factors based on pervious research. We found out that income level of household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afety and negatively on that of social risk. And unemployment ratio and population of female in a region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risk. Because the effects of budget for social safety of a regional government showed competing results, we need further study on the influence of budget for social safet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risk and safety. As control variable, political factor which is relationship crisis of north korea influenced negativel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afety. Based on this exploratory study we need to propose more elaborative model to measure influencing factors of citizen's perception of social risk and safety.

한국어

본 논문은 탐색적인 차원에서 사회위험과 사회안전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사회위험 및 사회안전의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16개 광역자치단체의 3개년 자료를 구축하였고, 영향요인으로는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관리요인을, 통제요인으로는 전국요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대북관계를 안정적으로 유도한 정부에서 사회안전 인식이 높았고, 사회위험 인식은 낮아 주민인식에 대한 정치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계수의 부호를 통해서 각 요인의 영향방향을 간접적으로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득이 증가하면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은 증가하고, 사회위험에 대한 인식은 감소하였다. 실업률과 여성인구수가 증가할수록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은 감소하고, 사회위험에 대한 인식은 증가하였다. 검거율은 범죄발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검거율은 사회안전의 인식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검거율이 증가할수록 사회위험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계수가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검거율의 증가는 사회위험 인식도를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안전 예산의 경우 예상과 반대의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엄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차원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과 커뮤니티 웰빙
  2. 분야별 사회안전(위험)과 전체적인 사회안전(위험)의 인식
  3. 주민의 사회안전(위험) 인식도에 대한 영향요인
 Ⅲ. 분석모형과 자료의 구성
  1. 탐색적 차원의 영향요인 분석모형
  2. 변수와 자료
 Ⅳ. 실증분석
  1. 기초통계
  2. 사회안전과 사회위험 인식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Ⅳ. 결론과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재호 Jae Ho Seo.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 이승종 Seung Jong Lee.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