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치원에 다니는 보육원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 Institutionalized Young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신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st institutionalized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daily routines of kindergarteners were qualitatively observed for five months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Based on the data gathered from thes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various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stitutionalized children form social relationships by maintaining intimate, yet competitiv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Moreov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non-institutionalized peers, institutionalized children showed interest but had difficulties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to actively express themselves.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y imitating their non-institutionalized counterparts, institutionalized children develop better social skills and more advanced play behavior. Finally, institutionalized children sought comfort from gaining the teachers’ attention by demonstrating maladjustive behavior. The teachers acknowledged this maladjustive behavior as a considerable factor in hindering the children’s formationof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the teachers expected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the study to make gradual progress in their ability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 emotional stability gained from contact with non-institutionalized peers in their kindergarten routines.

한국어

유치원에 다니는 보육원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5개월간 유치원 일과를 참여관찰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에 다니는 보육원 유아들의 보육원 유아와의 관계에서 그들은 서로 친밀하지만 경쟁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보육원 유아들은 일반 또래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또래들에게 관심은 있었지만 적극적인 표현을 하지 못하여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유아들의 행동을 모방하여 점차 발전된 놀이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셋째, 보육원 유아들은 교사의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을 하며 교사의 시선집중을 통해 위안을 받고자 하였다. 교사는 보육원 유아들의 부적응 행동이 사회적 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치원 일과 속에서의 경험과 또래와의 접촉이 보육원 유아들이 정서적인 안정감을 가져와 사회적 관계 형성에 점진적인 발달을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현장
  3. 연구절차
  4. 자료수집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보육원 유아들 간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정
  2. 보육원 유아와 일반 유아들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정
  3. 보육원 유아와 교사의 사회적 관계 형성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현정 Hyun-Jung Shin.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