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교사의 개인배경,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황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a total of 264 middle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relation to establishing the different levels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genders. However, regarding pos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ased on position, in that head teachers have great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in lower positions. In relation to career as a factor,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service had the highest mean scores for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and those with 11 to 20 years of servic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of the teacher and their level of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teacher’s length of service, position,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all shown to influence their job satisfac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middle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service in the teaching profession, high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demonstrate high job efficacy. There has been a post-discuss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which proposals have been made regarding potential follow-up research projects.

한국어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개인배경,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학교 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SPSS/PC Win(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t)-test와 중다회귀분석으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직위에서는 부장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더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력에서는 21년 이상, 10년 미만, 11-20년 미만 순으로 평균이 높아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개인배경변인,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교사의 성별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관계가 없었으나 경력, 직위, 조직지원, 자기효능감 간에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경력이 10년 미만이면서 조직지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중학교 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직무만족도
  2. 변인간의 관련성 및 연구의 모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
  2. 검사의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검증
  2. 중학교 교사의 개인배경변인,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영준 Young-Jun Hwang. 강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