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母)상실경험 아동의 미술치료 과정에 나타난 관계체험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a "mother-loss" child’s 'lived relationship' during art therapy

김효은, 홍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interest on ‘life experiences of a child who has experienced the loss of a mother. The research object was a twelve year old girl, in her six grade, who had experienced mother-loss and showing symptoms of depression. From September 15, 2008 to July, 2009, she went through 29 times of art therapy program, once a week, sixty minutes each session. Especially bringing in analytic phenomenology by Van Manen(1994), this study focuses on more of the meaning of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follows: (1) Based on trust and the sense of closeness which a child had developed with the art therapist, she could jump over to a relationship with others as she pursues ‘the process of finding oneself.’ (2) As a child sees and appreciates her own art pieces, she understands her experiences in the past and become experiences of the present ‘I’. In so doing she gets to self examination and discernment through experiencing a "rebirth of ‘I’" as she finds the hopeful ‘I’ as distinct from the ‘I’ in the past. (3)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the art therapist, she gets to have different perception about ‘I’.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ceptive, supportive, and sensitive care from the art therapist, positive therapeutic factors of art med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and the art therapist are important therapeutic variables for a child’s life and development who had lost her mother.

한국어

이 연구는 ‘모(母)상실경험아동의 삶의 체험’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머니를 상실한 경험으로 인해 우울의 증상을 보이는 만 12세 초등학교 6학년 여아이다. 2008년 9월 15일부터 2009년 7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29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특별히 미술치료를 통한 체험의 의미에 주안점을 두고자 Van Manen(1994)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를 적용하여 미술치료 체험과 의미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치료자와의 신뢰감 있는 만남과 친밀감이라는 알아차림을 통해 아동은 ‘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기존의 나를 넘어서서 타자(他者)를 향한 관계의 도약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둘째, 아동은 자신의 미술작품 감상을 통하여 과거의 경험은 지금-여기의 나(I)경험이 되고, 이전의 나 자신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희망적인 나의관계로 통합되는 재탄생의 경험을 통해 통찰과 자기 성찰에 이르게 되었다. 셋째, 아동은 치료자와 관계를 맺게 되면서 아동자신(I)에 대한 인식의 틀이 바뀌고, 결국 나(I)로부터의 원활하고 자연스러운 소통이 타자에 대한 소통으로 연결됨으로써 관계의 확장으로 이어지고, 이는 또한 아동의 성장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 환경에서의 치료자의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민감한 돌봄과 미술매체가 갖는 긍정적인 치료요인, 치료자와 아동과의 관계가 모(母)상실겸험 아동의 삶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치료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미술치료 프로그램
  4. 자료 분석
  5.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모(母)상실경험 아동의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관계 체험
  2. 모(母)상실경험 아동의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관계체험의 의미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효은 Kim, Hyo Eun. 을지아동발달지원센터 미술치료사
  • 홍은주 Hong, Eun Joo.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