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Effective Online Discussion Strategies

강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effective online discussion strategies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3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y were asked to do online discussions for two weeks. Then, based on their experience they were asked to identify effective online discussion strategies, from which 50 key perceptions were extracted. They were asked to group similar ones as well as rate the importance of each one.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ir perceptions. 5 clusters, namely, 'media/topic/organization', 'management/evaluation', 'administration', 'moderation', 'rules and manners' were identified under the 2 dimensions - 'design vs. execution' and 'comprehensive vs. specific'. Among the 5 clusters, the pre-service teachers rated 'management/evaluation' as the most important. The concept map produced in this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seem to have a very specific, complicated notion of effective online discussion strategies.

한국어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0명의 예비교사들에게 먼저 온라인 토론활동을 해보게 한 후,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을 구안해보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50개의 아이디어들을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동일 내용영역이라고 판단되는 것끼리 분류하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아이디어 각각에 대해 중요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다차원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은 5개의 군집-‘매체/주제/조직’, ‘관리/평가’, ‘운영’, ‘진행’,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도에 표상된 2개의 차원은 ’설계 대 실행‘과 ’종합적 대 세부적‘ 차원으로 해석되었다. 예비교사들은 5개의 군집 중에서는 ’관리/평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운영’, ‘매체/주제/조직’, ‘진행’, ‘방법’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전략으로는 ‘교사의 토론과정 모니터링’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산출된 개념도는 예비교사들이 자신들의 온라인 토론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종합적이면서 구체적인 개념을 갖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시대와 온라인 토론
  2. 관련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IV. 연구 결과
  1.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의 개념적 구조
  2. 예비교사들이 평정한 온라인 토론전략들의 중요도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숙희 Kang, Sook-Hi. 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