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GIS 기법을 이용한 마산만 오염총량관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of Masan Bay Using GIS Technique

조보현, 양금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system of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using GIS as par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and utilize Total Pollution Loads Management System in Masan Bay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he result of the pollution sources management at the Masan bay in conjunction with GIS was made possible the comparison of the source of pollution and the pollutant load among each administration area. It also developed Arc-GIS watershed management program which enables to estimate the population for discharge facilities, the water use of domestic population and commercial population, and pollutant load and discharge load of COD, TN and TP by the administration areas, years, and usages. In addition, this study anticipated minimizing temporal, economical efforts in utilizing large amounts of property and space utilization data and expedit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policies in relation to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management system of pollutant loads at the Masan bay are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la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and complement the watershed management system using GIS program for pollutant load which enables to predict the current and future state of point and nonpoint sources.

한국어

본 연구는 GIS을 활용하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통합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마산만의 점·비점오염원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체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산만 유역의 오염원 관리에 GIS를 이용한 결과 각 행정구역별 오염원 현황 및 발생 오염부하량 의 비교가 가능하였고, 오염부하 산정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배출원별 인구현황, 생활계 물사용량, COD/TN/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등의 오염원 부하량을 행정구역별, 연도별, 용도별로 산정할 수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속성, 공간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마산만 연안오염총량 관리가 가능하여 정책 수립 시 신속한 의사결정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점·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정보와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고// 부하량 산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향후 오염원 예측이 가능하도록 유역관리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의 지리적 범위
  2.2 연구방법
  2.3 오염원의 분류
  2.4 발생 및 배출부하량 산정
 3. 결과 및 고찰
  3.1 토지피복도 및 토양도 구축
  3.2 배출원별 인구현황
  3.3 생활계 물사용량
  3.4 COD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3.5 총질소(Total Nitrogen)의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3.6 총인(Total Phosphorus)의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보현 Bo-Hyun Cho. 비회원․(주)빌리언21
  • 양금철 Keum-Chul Yang. 정회원․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