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of Mankyua chejuense(Ophioglssaceae), endangered plant in Korea

이경미, 신정훈, 정헌모, 김해란, 김정호, 신동훈, 유영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habitat trai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 chejuense(Ophioglssaceae), endangered plant in Korea, we set 12 permanent quadrats in Jocheon-Sunhyul Gotzawal Wetland Region of Jeju Island, and surveyed the temporal pools, vegetation structure and counted the population size of the endemic rare plant. M. chejuense distributed in the vernal pools with a variety of shape, area of 150-400m2, depth of 0.4-2.0m and slope of 3-10°, at altitude of 88-165m in lowland area in Gotjawal Wetland Region, Jeju Island. The soil has a thin layer and high water content all the seasons. The population appeared with a density range of 1-423/pool in the boundary area of the wetlands under higher tree coverages(80-100%) in the deciduous forest communities. Vegetation wsa classified into five plant communities such as Ulmus parvifolia community, Cudrania tricuspidata community, Rosa multiflora community, Ardisia japonica community, phiopogon japonicus community. These results means that M. chejuense potentially has a shortage to evergreen plant succession, litter accumulation and water drainage, thus it is need to sustainable wetland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deciduous forest community for its sounded conservation.

한국어

멸종위기식물이고, 한국 특산속 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의 생육 환경과, 식물사회학적 군락조사를 통해 그 분포 입지와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제주도의 조천-선흘 곶자왈 습지대에서 12개의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고 분포입지, 식생 종조성, 식피율, 습지의 면적, 깊이와 경사도, 개체군 밀도를 조사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은 물이 고였다가 마르는 독립된 소택지로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지며 습지면적은 150-400m2로 좁았고, 해발고도는 88-165m, 깊이는 0.4-2.0m, 경사는 3-10°로 완만하였다. 토양은 수분을 항시 보유하고 있었다. 제주고사리삼은 소택지내에서 수관이 밀폐된 가장자리에 주로 군생하며, 개체수는 1-423개로 자생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군락은 참느릅나무군락, 꾸지뽕나무군락, 찔레꽃군락, 소엽맥문동군락(이상 목본성), 자금우군락(초본성)의 5개로 구분되었고, 식피율은 80-100%로 매우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제주고사리삼은 지속적인 수분공급과 어느 정도의 광이, 특히 낙엽수의 휴면기 때, 유입되는 환경에서만 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식물체의 크기가 5cm 이내로 작아 낙엽의 퇴적과 같은 작은 환경변화로도 생육에 큰 지장이 있을 정도로 예민한 종이고, 장기적으로는 상록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경우 그 생육지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조사내용 및 방법
  2.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2 식생조사
  2.3 물리환경 조사
 3. 결과 및 고찰
  3.1 자생지 물리환경과 분포 특성
  3.2 제주고사리삼의 식생과 분포 특성
  3.3 환경요인과 밀도의 관계분석
  3.4 식물군집 특성
  3.5 제주고사리삼 분포지의 식생 종조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경미 Kyoung-Mi Lee.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신정훈 Jeong-Hoon Shin.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정헌모 Heon-Mo Jeong.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해란 Hae-Ran Kim.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정호 Jeong-Ho Kim.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신동훈 Dong-Hun Shin.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유영한 Young-Han You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