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권자의 SNS 캠페인의 가능성, 문제점 및 규제에 대한 인식

원문정보

Voters’ Attitudes Toward the Functions and Restrictions of SNS Election Campaigns

탁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a partial violation judgement of the constitution court on election law which defined SNS election campaign as illegal campaign methods in the late 2011, wide-spread expectations on SNS election campaign became to rule korean political society. This study has examined desirable ways of SNS election campaign restriction based upon voters’ attitudes toward the SNS election campaigns because impatient anticipations founded on optimistic prospect are hazardous. The results confirmed that voters hav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SNS campaign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restriction of SNS campaign an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situation-sensitive restriction of SNS campaign than those having no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voters having negative attitudes toward SNS campaign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restriction of SNS campaign. But, the analysis showed less consensus regarding the situation-sensitive restriction of SNS campaign. Next, various demographical and pre-dispositioned characteristics of voters showed caual relationships with voters’ attitudes toward SNS election campaign.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concerning the difference in voters’ attitudes toward SNS election campaign among varied age groups differed with our anticipations.

한국어

헌법재판소가 SNS를 이용한 선거운동을 불법으로 규정한 공직선거법에 대해 한정 위헌판결을 내린 후 이의 선거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사회적으로 널리 확산되었다. 하지만, 낙관적 전망에 기초한 성급한 기대는 위험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SNS 캠페인의 가능성과 문제점에 대한 유권자의 구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규제방안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거와 관련된 SNS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SNS 규제에 대해 반대가 많으며, SNS 규제의 차별성에 대해 더 많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SNS 규제에 대하여 찬성의 의견을 강하게 표출하였다. 하지만, 인터넷에 관련된 기존 연구와는 달리 SNS 규제의 차별성에 대해서는 동의의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권자의 다양한 특성이 SNS 캠페인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권자의 연령대에 따른 SNS 캠페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당초의 예상과는 달리 연령대의 영향력은 그다지 크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논의
  1. 선거와 관련된 SNS의 가능성
  2. 선거와 관련된 SNS의 문제점
  3. SNS 규제에 대한 논의
  4.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1. 조사 대상자의 선정 및 조사 방법
  2. 주요 변인의 측정
 Ⅳ. 자료의 분석
  1. 기술적 통계 및 신뢰도 분석
  2. 연구문제의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탁진영 Jin-Young Tak.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