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 social distrust, political trust
초록
영어
Political trust is a valuable social capital which would promote participative democracy. Individual's evaluation of political sphere has been influenced by social distrust. A person who tends to think of society as distrust is more likely to have political distrust. In addition, the negative news frame of political events has been increased and this trend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political trust. Thu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 social distrust, political trust, based on onlin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internet and social distru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al media use and social distrust.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social distrus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Korean politics(political party, national assembly, politicia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media use influenced a person's perception of political trust through social distrust. This finding might imply that political subjects seeking people's trust have to make an effort to decrease people's social distrust.
한국어
신뢰는 민주주의에 요구되는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귀중한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다. 사람들이 사회에 대해 가지는 불신의 정도는 사회변동의 주요 주체인 정치영역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를 불안하게 혹은 불확실하게 생각할수록 정치에 대한 불신은 증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디어의 부정적 뉴스 프레임 현상도 사회적 불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정치 신뢰에 영향을 주는 두 요인 즉,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불신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매체 유형별 사회적 불신 정도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는 미디어 이용량과 사회적 불신에 대한 연구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신에 대한 전통적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인터넷 이용은 사회적 불신과 유의미하게 관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불신이 정치(정당, 국회, 정치인)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미디어 이용은 사회적 불신을 매개하여 정치에 대한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사회적 불신과 정치신뢰 사이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여, 사회적 불신이 높을 때 정치 신뢰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의 신뢰를 얻고자하는 정치 주체들은 자신이 부여받은 정치적 임무와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생활 속에서 국민들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불신과 정치 신뢰
2. 미디어와 정치 불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연구결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