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들의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및 그 차원들이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metacognition, and their dimensions on the severity of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서우정,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ole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the severity of generalized anxiety(GA) symptoms. Two hundred and thirty thre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battery of self-report measures to asses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etacognition, general negative affect, and GA symptom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negative affect and metacognition. Metacognition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together explained an additional 9% of the total variance of GA symptoms, above and beyond negative affect. Furthermore,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six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o GA symptoms. Of the dimensions,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limited access to strategies for regulation dimensions each uniquely contributed to GA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dimensions.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five dimensions of metacognition to GA symptoms revealed that negative beliefs about worry concerning uncontrollability and danger and the lack of cognitive confidence dimensions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GA symptoms. In conclusion,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linicians should focus on bot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order to alleviate GA symptoms and preven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more effectively.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및 그 차원들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상위인지, 부정적 정서 및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둘 모두 일반화된 불안증상 및 부정적 정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은 부정적 정서와 상위인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상위인지 또한 부정적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일반화된 불안증상들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는 부정적 정서의 영향을 넘어서서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전체 변량의 9%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된 불안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6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해 동시적 중다회귀방정식을 사용한 결과, 다른 나머지 차원들을 통제한 후에도 정서적 명료성 부족과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 제한차원은 각각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에 대한 상위인지의 5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시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걱정에 대한 통제 불가능성/위험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인지적 자신감 부족차원은 각각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가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각각 고유하게 기여하며,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 두 변인 모두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결과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일반화된 불안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의 고유효과와 공유효과
  일반화된 불안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차원들과 상위인지의 차원들의 상대적 기여도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우정 Woo-Jeong Se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경기 해바라기 아동센터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