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2 : 고려의 금속활자의 재조명과 세계인쇄사

新出 금속활자와 고려시대 서예사

원문정보

Recently Discovered Metal Types and Calligraphy History of Goryeo Period

신출 금속활자와 고려시대 서예사

이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tal types recently discovered with stelae, sutra inscriptions, and Tripitaka of Goryeo period. By comparing with the stele for the monk Daegak in 1125, which is come from the writing style of Ou Yang-xun, it could be found that the types and the stele are similar in character style. Also some characters of the types were originated from the style of Yan Zhen-q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types was produced after 12th century, when the style of Yan Zhen-qing was popular in Goryeo. And by comparing with sutra inscriptions in 1270~83, it could be found that the casting period of the types never exceed after the 13th century. Futhermore comparing with the Tripitaka woodblock-prints, it could be found that the types is very similar with the woodblock-prints which were published by temples before the Second Tripitaka.

한국어

이 글은 최근 공개된 금속활자를 고려시대 석문․사경․대장경과 비교해본 것이다. 石文과의 비교에서 이 활자가 초당 구양순 서풍에서 나온 1125년 <대각국사비>에 가까웠다. 또 일부 자형은 중당 안진경 이후 유행된 것임도 알았다. 따라서 이 활자가 안진경 서풍이 유행한 12세기 이후 또는 <대각국사비>가 세워진 1125년 이후 주조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충렬왕 초 1270~83년 사경과 비교하여 이 활자가 13세기 후반을 크게 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 대장경 판본과의 비교에서 재조본이나 寺刊本 불경과 유사한 성격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신출 금속활자의 특징
  2.1 점획과 짜임[結構]
  2.2 글자꼴[字形]
 3. 고려 石文과 신출 금속활자
 4. 고려 寫經과 신출 금속활자
 5. 고려 大藏經과 신출 금속활자
 6. 맺음말
 참고문헌
 도판목록

저자정보

  • 이완우 Yi, Wan-Woo.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