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의 요인 및 역할과 긍정행동의도

원문정보

The Mediating Roles of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최낙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are sensitive to self achievement and maintenance, and ease or difficulty with which the brand informations are processe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self regulatory fit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and used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as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Perceptual fluency affected conceptual fluency,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conceptual fluency and preference fluency and also had direct impacts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Preference fluency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Self regulatory fit had impacts on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But there were no direct impa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self regulatory fit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In sum, there were mediating roles of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self regulatory fit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한국어

기존의 연구들이 정보처리유창성과 규제적합성이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브랜드평가나 긍정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이 브랜드에 대한 긍정행동의도에 매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선호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보처리유창성과 자아규제적합성, 그리고 브랜드자아개입 개념을 도입하여, 지각적 유창성과 개념적 유창성 그리고 자아규제적합성이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들을 갤럭시SⅡ 브랜드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브랜드의 지각적 유창성과 개념적 유창성 그리고 자아규제적합성이 긍정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탐색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2.1.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의 긍정행동의도효과
 2.2.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의 영향요인
 3. 연구의 방법
  3.1. 실험대상의 선정
  3.2.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의 개발
  3.3. 예비조사
  3.4. 구성개념의 측정
  3.5. 실험설계 및 자료의 수집과 분석방법
 4. 실증분석
  4.1. 실험집단 간의 주의동질성과 처리유창성의 차이 검증
  4.2. 구성개념의 주성분요인분석과 타당성
  4.3.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4.4. 연구 모형의 적합도 평가와 가설검증
 5. 연구의 요약과 토의
  5.1. 연구의 요약
  5.2.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낙환 Choi, Nak Hwan. 전북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