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변화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After School Education of Dance on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as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박현정, 김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ur main variables, such as the participation of after school education of dance,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grade, and gender on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548 elementary students(participation-278, non-participation-270) were selected from 9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which have after school education of dance.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verification were used. As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group which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education of dance had higher means in intelligent,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self-efficacy. Second,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education of da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social·emotional in lower grades displayed higher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higher grade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lligent self-efficacy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의 참여유무, 참여기간, 학년,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9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278명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270명을 선정하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 계 와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요인에 대해 서는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비참여학생에 비해 지적, 사회정서적,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참여기간에 따른 자기 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지적 자기효능감은 6-12개월이 가장 높았고, 사회정서적,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12개월 이상 참여한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해 세 영역 모두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서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지적, 사회정서적 영역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절차 및 방법
  4. 자료 처리
 연구결과
  1.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2.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3.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 참여 학생의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4. 방과 후 무용교육활동 참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논의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현정 Park, Hyun-Jung. 한국예술연구소
  • 김지영 Kim, Ji-Young.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