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 성과평가 제도에 관한 연구 - 2009~2011년 지역경찰 성과평가 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Police : Focused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rom 2009 to 2011 at the Level of Local Police

김현정, 이동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ssess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rom 2009 to 2011 at the level of local police based on government documents and literature reviews. The achievements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re as follows: 1) The promotion of work spirit by introduc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2) Use of qualitative performance measures in addition to the extensive quantitative measures. 3) Adoption of the locally customiz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4) the paradigm shift by adopting the client oriented performance system reflecting citizens' opinions.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 1) The focus of performance measurement was on the organization management rather than the improvement of police service. 2) Failure to balanc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by dropping out quantitative measures. 3) Frequent chang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with sixth month cycle. 4) Side effects such as competition among members by not fully making consensus on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Two years study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local polices, which based on literature and the documents, has its own limitation, however, it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a better and citizen-oriented local police servi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부터 2011년간 경찰청이 시행한 지역경찰 성과평가 제도의 내용과 방법을 분석·평가하는 것으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잘된 점으로는 성과평가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 전면적 양적지표에 수정을 가하여 질적 성과지표를 추가한 것, 전국 통일의 성과평가 기준에서 지역실정에 적합한 맞춤형 성과평가 방법을 도입한 것, 지역주민을 평가주체로까지 도입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시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미흡한 점으로는 성과평가 제도가 도입 취지인 치안서비스의 개선보다는 조직 관리 측면에 치중한 것, 성과지표를 질적지표만으로 구성하는 등 객관성 등 양적지표의 장점을 전면 고려하지 않은 점, 새로운 제도를 도입·적용하기에 너무 짧은 기간인 6개월 간격으로 성과평가 시스템이 자주 변경된 점, 성과평가 도입 후 실적경쟁 부작용이 나타나는 등 성과평가 제도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준비기간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2년이라는 짧은 기간의 지역경찰 성과평가 제도의 변동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지역경찰의 궁극적 목적인 주민이 원하는 치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성과평가 제도의 개선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지역경찰 성과평가 제도 분석
 Ⅳ. 지역경찰 성과평가 제도에 대한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정 Kim, Hyun-Jung. 경찰대학교 경찰학과 교수
  • 이동영 Rhee, Dong-Young. 한림대학교 법행정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