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범죄피해와 유형별 범죄에 대한 두려움

원문정보

Crime Victimization of the Elderly and Fear of Crime by Crime Type

곽대경, 송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during the 20th century have lead to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ies. Aging over 60 has been considered to be old during the 1950s, but nowadays elderly people whose age is over 80 are substantially increasing. Ultimately, this is causing the age of general population to increase. The elderly people are physically, economically and situationally weaker compared to others below age of 60, and therefore they are more vulnerable to crime victimization.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elderly, who are not healthy as the average person, to recover from a crime, and since crime often endanger life, crime victimization of the elderly is a serious threat to the victim. This study examines physical, economic,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it is found that the elderly have lower fear of crim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before crime victimization. However, when they are victimized by crime, their recovery is relatively slower and losses are relatively greater. To resolve this problem and minimize losses from crime victimization, this study proposes crime prevention tactics such as strengthened patrol activities of residential areas with many elderlies, utilization of emergency calling bell systems and providing consistent crim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한국어

20세기에 들어와 생활여건의 개선과 의료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인구의 평균연령이 증가하게 되었다. 1950년대만 하더라도 60세가 넘으면 장수를 한다고 하였으나, 최근에는 80세가 넘는 노인들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연령대가 높아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노인은 신체적ㆍ경제적ㆍ환경적으로 60세 이하의 인구보다 쇠약하기 때문에 범죄 피해에 노출되기 쉽다. 일반인보다 건강하지 못한 노인들이 피해를 입은 경우 일반인에 비해 회복이 어렵고, 생명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노인이 피해자가 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 연구에서 노인의 신체적ㆍ정신적ㆍ환경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범죄피해를 당하기 전의 노인들은 60세 미만의 일반인보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범죄피해 발생 시 일반인보다 회복도 늦어지며, 피해도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범죄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범죄예방 방안으로, 노인 거주 지역에 대한 순찰활동 강화, 긴급 경보 벨 설치, 지속적인 범죄예방교육 강화활동 등의 범죄예방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노인에 대한 범죄피해 실태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Ⅳ. 노인범죄피해에 대한 예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대경 Kwack, Dae-Gyung.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 송일호 Song, Il-Ho.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