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시기 소운송업 통제에 관한 국내 일간지의 보도경향

원문정보

Trends in Daily Newspapers’ Reports Related to the Restriction on Minor Transportation Busines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정희윤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8집 2012.06 pp.209-2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ends in Daily Newspapers’ Reports Related to the Restriction on Minor Transportation Busines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Jeong, Hee Yun Transportation means ‘to carry and deliver people or things’ in its literary sense. It can be divided into the major transportation and the minor transportation at large. The major transportation includes those transportations by railways or liners, while the minor transportation covers all those transportations from sender’s embarkation place to the railways or ships, and from the railways or ships to consignee destination.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underwent many change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ailways. The transportation businesses had been attributed to Gaekju’s and Yeogak’s in Colonial Joseo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railways. The Gaekju’s and Yeogak’s were located near ports and inlets because they rested on river and marine transportations. There had been no changes in such a transportation system after port opening, but great changes occurred after the opening of the Gyongin Railway in 1899. The Gaekju’s and Yeogak’s moved to the areas near the railway stations to open transportation offices in front of the railway stations. As the major transportation businesses were free at that time, anyone could run a transportation office. The excessive amount of transportation offices lacking sufficient capital and credit and their mutual competition hindered Japan’s ruling over Joseon. Thus, the Imperial Japan attempted to control the entire minor transportation industry under a single firm, Joseon Transportation Company by enacting various institutions and transportation incorporation. Japan promulgated the minor transportation law on April 5th in 1937 and enacted it on October 1st the same year, and as for Joseon, it promulgated the Joseon minor transportation ordinance on November 9th in 1939, and enacted it on January 15th in 1940. With this, the minor transportation business, which had been free then, was changed into a licensed business, and Japan tried to incorporate diverse minor transportation companies in Joseon into one. Imperial Joseon urged for transportation incorporation and the ‘One Station, One Office’ policy in order to control Joseon’s minor transportation industry, but Joseon minor transportation businessmen opposed and resisted Japan’s control policy. Such aspects of affairs were well published by Maeilsinbo, the orga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Dong-a Ilbo, a private newspaper, but the report patterns were different. While Maeilsinbo mainly published the reports that spokes for the government‐general, which emphasized the transportation incorporation, control, and enactment of the laws, Dong-a Ilbo frequently reported Joseon 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 transportation incorporation. Investigating the trends in the newspapers’ reports, we can see that there were much more reports of control and resistance beginning from 1939, when the Joseon minor transportation ordnance had been promulgated. Though Joseon’s minor transportation industry continuously resisted Imperial Japan’s unitary exclusive system, it should complied after the complete control over minor transportation by the promulgation of land borne trade restriction act in 1940 or should be doomed to decline otherwise.

한국어

일제시기 소운송업 통제에 관한 국내 일간지의 보도경향 정 희 윤 운송은 사전적 의미로 ‘사람을 태워 보내거나 물건 따위를 실어 보냄’을 말한다. 이러한 운송은 크게 대운송과 소운송으로 나눌 수 있다. 대운송은 철도 또는 기선에 의한 운송을 말하며 소운송은 하송인 호구로부터 철도 선박까지, 또는 철도 선박으로부터 하수인의 호구까지 일체의 운송을 소 운송이라 한다. 식민지 시기 조선에서의 이러한 운송업은 철도 부설 이후 많은 변화를 보였다. 식민지 조선에 철도가 부설되기 이전 조선의 운송업은 객주나 여 각에서 담당했다. 이들은 해운과 강운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항구나 포·진에 위치하고 있었다. 개항 이후에도 이러한 운송 체계는 변함이 없 었으나 1899년 경인철도 개통 이후 큰 변화를 보였다. 객주와 여각은 철 도 정거장으로 자리를 옮겨 철도 역전에 자신의 간판을 내걸고 운송점을 개업하였다. 당시 자유영업이었던 소운송업은 운송점이라는 간판을 달면 누구나 할 수 있었다. 자본과 신용이 부족한 운송점의 과다 등장과 상호 경쟁은 일본이 조선을 지배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이에 일제는 여러 가 지 제도와 운송합동을 단행하여 하나의 회사 즉 조선운송주식회사 아래 조선의 소운송업을 통제하려 하였다. 일본은 1937년 4월 5일에 소운송업법을 공포하고 동년 10월 1일에 시 행했으며 조선에는 1939년 11월 9일에 조선소운송업령을 공포, 1940년 1 월 15일에 시행하였다. 이로써 그 동안 자유영업이었던 소운송업은 면허 제로 바뀌었으며 조선에 있는 여러 소운송을 하나로 묶으려 했다. 일제는 조선의 소운송업을 통제하기 위해 운송합동, 一驛一店주의를 강요하였으나 조선의 소운송업자들은 일제의 통제 정책에 반대, 저항하는 모습을 보 인다. 이러한 모습은 당시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와 민간지 동아일보 에 기사에 잘 나타나 있는데 그 보도 경향은 달랐다. 매일신보는 총독부 의 입장을 대변하는 내용으로 조선에서의 운송합동과 통제, 법령실시 등 을 강조하는 기사가 주를 이루었으며 민간지 동아일보는 조선인들의 운송 합동을 반대하는 저항의 모습을 자주 보도 하였다. 신문의 보도 경향은 조선에 조선소운송업령이 공포되는 1939년을 기점으로 해서 더욱 더 통 제와 저항에 관한 기사가 많아짐을 볼 수 있다. 조선의 소운송업은 일제의 일원적, 독점적 체제에 계속적으로 저항하였 으나 1940년 육운통제령이 공포되어 소운송업이 완전 통제된 이후 순응 하는 모습을 보이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몰락을 길을 걸었다.

목차

I. 머리말
 II. 일제시기 소운송업의 성격
  1. 소운송업의 성립
  2. 소운송업의 제도와 성격
 III. 신문기사로 살펴본 소운송업 통제
  1. 1939년 이전의 소운송업 통제
  2. 1939년 이후의 소운송업 통제
 IV.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희윤 Jeong, Hee Yun. 숙명여대 역사문화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