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瀛洲十景으로 본 朝鮮 儒學者의 仙境 인식과 그 태도

원문정보

Perception on Immortal Land(仙境) and Attitude of Confucianists in Joseon Based on Ten Scenic Views of Yeongju(瀛洲十景)

영주십경으로 본 조선 유학자의 선경 인식과 그 태도

김치완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59집 2012.06 pp.131-15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ach and perception of humanities on especially Yeongju Mountain(瀛洲山) among the perceptions on Immortal Land(仙境) of Confucianists in Joseon. The reason why is that it was expected that if the Confucianists who were faithful to the order of Neo-Confucianism had a perception on Immortal Land which is tough to say to be Neo-Confucianistic, the problems of our perception on Jeju Island today and the solutions would be able to be groped for through the reason. First, the Mountain Excursion(遊山) of Confucianists of Joseon, which was in fash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pproached in the way of humanities. Mountain Excursion was one of the actions of sightseeing aiming at communication, and the Confucianists in Joseon intended to appreciate the immanent meaning of mountains and to practice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moral cultivation through the opportunity. Therefore, Mountain Excursion included not only the form to climb a mountain in person but also the form of nature stroll at home(臥遊), which means reading mountain climbing writings or viewing pictures of the sightseers of the previous age. Meanwhile, the perception on Immortal Land of East Asia arose from the demands to escape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age of civil wars. The reason why this perception of Immortal Land emerged anew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at the yearning for the Utopia was maximized after two wars and the cultural exchanges in East Asia was active at that time. In this connection, Yeongju Mountain(瀛洲山) can be called as a space created in the way of humanities rather than an actual natural scene. We have thought that Halla Mountain(漢拏山) has been called Yeongju Mountain(瀛洲山) and Jeju has been called Yeongju(瀛洲) from old times because of the natural scene with Heaven's blessing. However, according to the poems on the ten scenic views of Yeongju(瀛洲十景詩) of the Confucianists in Joseon, there is a strong significance that it is a space of humanities in which the Confucianistic theory of moral cultivation that tells to practice morals, to learn to become a sage and to do good things with the world can be practic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because Jeju was not a familiar space but a strange space to them. In short, the regional peculiarity of Jeju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provides a moment of 'strangeness' felt by those who visit Jeju. Sometimes, this 'strangeness' can be felt in the natural scenes, but ultimately it is possible only when the opportunity that enables the self-examination in the way of humanities is provided. In this connection, in order for Jeju to become a true Immortal Land, it should be rediscovered as a space of sympathy,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朝鮮 儒學者의 仙境 인식 중에서도 특히 瀛洲山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성리학적 질서에 충실했던 이들이 성리학적이라고 말하기 곤란한 仙境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면, 그 이유를 통해 오늘날 우리의 제주도 인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우선 朝鮮後期에 유행했던 조선 儒學者의 遊山 행위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遊山은 疏通에 목적을 둔 遊覽 행위 가운데 하나로서, 조선 유학자들은 이를 통해 山이 지닌 내재적 의미를 탐미하고, 그 계기를 통해서 性理學的 修養論을 실천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遊山은 山을 직접 오르는 형식만이 아니라, 先代 遊覽者들이 남겨 놓은 遊山記를 읽거나 그림을 보는 臥遊의 형식까지 포함했다. 한편, 동아시아의 仙境 인식은 戰國時代의 혼란한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요구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조선후기 들어 이 仙境 인식이 새롭게 등장한 이유는 두 번의 전쟁 이후 이상향에의 동경이 극대화되었고, 동시에 당시 동아시아의 문화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瀛洲山은 실재하는 자연경관이라기보다는 인문학적으로 창조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예로부터 漢拏山을 瀛洲山, 濟州를 瀛洲라고 한 까닭이 그 천혜의 자연경관 때문이라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조선 유학자들의 瀛洲十景詩에 따르면, 修身과 爲己之學, 그리고 兼善天下라는 儒家的 修養論을 실천할 수 있는 인문학적 공간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제주가 그들에게 익숙한 공간이 아니라 ‘낯선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濟州의 지역특수성은 제주를 찾는 사람들이 느끼는 ‘낯설음’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때로는 이 ‘낯설음’이 자연경관에서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인문학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제주가 진정한 仙境이 되려면 교감과 반성, 그리고 소통적 공간으로서 재발견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朝鮮儒學者의 遊山행위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3. 瀛洲山의 성격과 공간적 특징
 4. 朝鮮儒學者의 人文텍스트에 나타난 瀛洲十景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치완 Kim, Chi-Wan.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