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투고논문

자증분에 대한 짠드라끼르띠의 비판

원문정보

Candrakīrti's critique of svasaṃvedana

김현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andrakīrti's critique on svasaṃvedana is an important discussion to let us know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term Madhyamaka school which succeeds to Bhāviveka and what Candrakīrti's Madhyamaka idea is.
With trying, in this paper, a critical approach on Candrakīrti's understanding of paratantra, I examined his definition on paratantra. I reviewed also svasaṃvedana in terms of paratantra criticized in Madhyamakāvatāra, and showed correlation between Candrakīrti's understanding of paratantra and his criticism of svasaṃvedana. Significantly, Candrakīrti has criticized paratantra combined with Epistemology viz., “Candrakīrti criticized ālayavijñāna in terms of paratantra and svasaṃvedana in terms of paratantra”.
In addition to this, paratantra has become a primary target in Candrakīrti's critique of vijñānavādin.

한국어

짠드라끼르띠의 유식사상 비판은 바비베카에 연속하는 중기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과 짠드라끼르띠의 중관사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논의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짠드라끼르띠의 의타기성 이해에 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그가 이해하고 있는 의타기성의 정의들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짠드라끼르띠의 『입중론』 「현전지」에 나타난 의타기성으로서 자증분 비판을 고찰하고, 이 과정에서 짠드라끼르띠의 의타기성 이해와 자증분 비판의 상관성을 밝혔다.
짠드라끼르띠는 인식론이 결합된 의타기성 즉 의타기성으로서 알라야식과 의타기성으로서 자증분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 의타기성이 짠드라끼르띠의 유식사상 비판에 있어서 주된 표적이 되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I. 들어가는 말
 II.『입중론』「현전지」 제47게와 자증분 비판의 상관성
 III.『입중론』「현전지」 에 나타나고 있는 자증분 이론
 IV. 의타기성으로서 자증분에 대한 짠드라끼르띠의 비판
  1. 유식성으로서 자증분
  2. 의타기성으로서 자증분에 대한 비판
 V.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구 Kim, Hyungu. 전남대학교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