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인도, 티벳, 동아시아에서 불성・여래장사상의 형성과 수용, 변용

『대승기신론』에서 여래장의 수행론적 의미

원문정보

The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Tathāgata-Garbha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고승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lation to the thesis of Chinese authorship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we may point out that a sort of Sinicized mode of thinking, especially an affirmation of the present world, is implied in the text.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at fundamental ignorance (genben wuming 根本無明) referred to in the text denotes one’s failure to realize the identity of the realm of sentient beings with that of the Buddha or nirvāṇa, through a comparison of the text with the Scripture of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Buzeng bujian jing 不增不減經) and the Śrīmālādevī Sūtra (Shengman jing 勝鬘經), two scriptures that explicate the tathāgata-garbha (rulai zang 如來藏) thought. In particular, the Awakening of Faith does not regard afflictions as objects of elimination.
Instead, the text emphasizes that one should recognize that afflictions are devoid of self-nature. And such a view of afflictions is congruent with the Huayan idea of the one true dharma realm (yi zhen fajie 一眞法界).
Original enlightenment (benjue 本覺) introduced in the text indicates the function of tathāgata-garbha as an internal cause for attaining buddhahood and the activit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as an external condition for enlightenment. While tathāgata-garbha arouses aspiration for enlightenment in the practitioners’ mind,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lead those practitioners to attain buddhahood. The text’s account of the permeation (Skt. vāsanā) of suchness in terms of its functionality (zhenru yong xunxi 眞如用熏習) and the gate of stopping (Skt. śamatha) and contemplation (Skt. vipaśyanā) (zhiguan men 止觀門) implies that tathāgatagarbha is intricately connected with the practice of compassion throughout the entire stages of cultivation.
In sum, the Awakening of Faith explicates the structure of one’s mind and mechanism of enlightenment on the one hand, while it affirms the present state of sentient beings as a foundation of cultivation and stresses their compassionate engagement as an ultimate realization of their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한국어

『대승기신론』의 중국 찬술설과 관련하여 본 논서에 중국적 사유방식, 특히 현실 세계에 대한 긍정이 잘 표현되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부증불감경』 및 『승만경』 등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기신론』에서의 근본 무명은 중생의 세계와 부처 또는 열반의 세계가 동일함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기신론』은 번뇌를 제거의 대상이 아닌, 그 실체가 없음을 인식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는데, 이는 일진법계를 주장하는 화엄가들의 견해와 일치한다. 또한 『기신론』의 본각 개념은 수행자의 마음속에서 발심과 수행을 일으키는 성불의 내적인 인(因)으로서의 여래장과 그들의 성불을 돕는 외적인 연(緣)으로서의 불보살의 작용을 가리키며, 진여의 용(用) 훈습 및 지관문(止觀門)에 대한 설명은 여래장이 수행의 전 과정에서 자비의 실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짐을 시사한다. 요컨대 『기신론』은 마음과 깨달음의 구조를 설명하는 한편, 중생의 현실을 수행의 토대로서 긍정하고 깨달음은 궁극적으로 자비의 실천으로 실현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논서인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들어가는 말
 II.『기신론』의 여래장 개념 형성
  1.『기신론』과 여래장사상
  2.『부증불감경』의 일법계 개념과『기신론』진여문의 정의
  3.『승만경』의 ‘한계 없는 진리’와『기신론』에서 진여의 두 가지 뜻
 III.『기신론』의 깨달음과 수행의 구조, 여래장과의 관계
  1.『기신론』에서의 불각, 시각, 본각의 관계
  2.『기신론』에서 본각의 수행론적 의미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승학 Koh, Seunghak. 동국대 HK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