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사회과학영역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achieve and sociability - in the context of the participation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nce

원문정보

초등학교 여학생의 무용참여에 따른 성취능력과 사회성의 관계

Kim, Ki-Hoon, Seok, Hyuk-ki, Lee, Jong-Ha, Lee, Kyung-J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무용참여를 통하여 성취능력과 사회성의 인식을 통하여 앞으로 무용 이외에 다른 스포츠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할 수 있는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총 224명 이었다. 표집 된 244명 중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4명 이었다. 이를 기초로 Windows용 SPSS/PC 1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능력과 사회성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무용참여정도는 성취능력과 사회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성취능력은 사회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성취자신감은 대인관계와 책임감에 영향을 미치며, 주도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목차

I.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s
  1. Research Target
  2. Analysis Tools
  3. Data Analysis
 Ⅲ. Results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to achieve and sociability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Dance and the Ability to Achieve and Sociability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ce Participants’ Ability to Achieve and Sociability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Kim, Ki-Hoon 김기훈. Ulsan College
  • Seok, Hyuk-ki 석혁기. Gangwon Provincial College
  • Lee, Jong-Ha 이종하. KNSU
  • Lee, Kyung-Jong 이경종. Kyonggi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