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Conceptual Artworks that Features Art of Nothingness

원문정보

무(無)의 예술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예술작품들에 관한 연구

남상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913, Marcel Duchamp questioned, “Can one make works which are not works of ‘art’?” Ever since this line played as the central theme in the so-called ‘new art,’ there have been ongoing questions about unconventional and nontraditional artworks. Conceptual art, which depends solely on the concept – not the artwork itself – had emerged. Due to the detachment of concept from the artwork,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artwork itself does not contain any significant information on the surface and is “made to engage the mind of the viewer rather than his eye or emot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se artworks of nothing is the concept or idea. The medium or form is irrelevant. Thus, the title and background information are attached to the artwork in order to help the viewer understand the artist’s intended yet hidden meaning.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conceptual art is made and understood. Also, the impact when the concept is properly understood is discussed.

한국어

1913년 마르셀 뒤샹은 “그 누가 ‘예술’이 아닌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미술계에 던졌다. 이 화두가 소위 말하는 ‘신예술’의 중심 주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 이후, 비관습적이고 비전통적인 예술 작품에는 항상 계속된 질문들이 있어왔다. 작품 자체에 중요성을 두지 않고, 개념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개 념예술이 새로이 나타남에 작품에서 개념이 분리되고, 표면적으로 아무런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 예술작품 들이 하나, 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다시 말해, 표면적으로는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고 관람객들의 눈이나 감정이 아닌 마음에 호소하는 많은 개념예술작품들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작품들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 소는 바로 개념, 즉 아이디어이다. 그래서, 매체나 폼은 연관성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제목이나 배경지식 이 관람객들이 작가의 의도한 바나 숨겨져있는 뜻을 읽어내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무(無)의 예술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들의 예를 통해 개념예술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이해되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또한, 개 념이 올바르게 이해되었을 때의 파급효과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Introduction
 2. Analysis on Particular Examples
  1) 4’33” (1952) by John Cage: The Sounds of Silence
  2) 1,000 Hours of Staring (1992-1997) by Tom Friedman : Invisible Drawing
  3) DPI Series: 100 dpi, 200 dpi, and 300 dpi (2003) by Sang Um Nam : Unprinted Print
 3. Theoretical Background & Process
  1) Communication Theory
  2) Reception Theory
  3) Interactivity
  4) Gestalt Shift
  5) Object Trouvé: Alienation, Taming, and Labeling
  6) Progression from Spectacle to Active Participant
 4. Conclusion
 Works Cited

저자정보

  • 남상엄 Nam, Sang Um. 일란대학교, 커뮤니케이션스 스쿨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