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 -디지털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by using Digital Media -Focusing on the analysis of digital works

이상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the variety of ways to practice in the Art Education by using Digital Media. For this purpose, I will introduce world famous digital media Artists and investigate various examples of practical training by using digital media in art education. Students can try a different expression by drawing self-portrait of Andy Warhol's printmaking techniques using copy machine and digital output, and can be derived conversion of thinking by changes in the relative sizes of the screen to create a strange image and can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moving picture to make Flip Book and animation using digital media. Digital media art education will arouse students' interests and stimulate emotion, intelligence and the visual logic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어

본 논문은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실습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궁극 적인 목적을 위하여 국내, 외에서 이름을 알리고 있는 디지털미디어 작가들도 간단히 소개하고 미술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실기 실습의 몇 가지의 실례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앤디워홀의 판화 방식을 이용한 자화상 그리기는 복사기나 출력을 이용한 또 다른 표현영역을 경험할 수 있어며, 화면 안 에서 상대적 크기를 왜곡, 변화시켜 낯선 이미지를 만들기는 학생들에게 사고의 전환을 유도하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플립북과 애니메이션 만들기는 움직이는 그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 활용한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과학과 기술의 시대를 살아 갈 학생들에게 감성과 지성, 시각적 논리를 자극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2. 미술도구로서의 디지털 미디어
  1) 디지털의 효용
  2) 디지털미디어의 특징
  3) 디지털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3.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1) 움직임에 대한 이해-flip book 만들기
  2) 사물의 재해석- 디지털 포토 콜라쥬
  3) 앤디와홀의 판화방식을 차용한 디지털자화상
  4) Scale의 왜곡, 변형을 이용하여 낯선 이미지 만들기
  5) 디지털사진을 동영상으로 스토리메이킹하기
  6) 손그림과 콜라쥬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4. 마치는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은 Lee, Sang Eun.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